빈부격차 갈수록 심화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와 농어가를 제외한 전 가구 중 중산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66.7%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66.2%보다 소폭 올랐지만 6년 전인 2003년(70.1%)과 비교해 3.4%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같은 기간 빈곤층이 11.6%에서 13.1%로 1.5%포인트 상승했지만 상류층은 18.3%에서 20.2%로 1.9%포인트 올라 중산층 이탈층이 상류층에 더 많이 편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산층이 줄면서 그만큼 빈부 격차가 심해졌다는 의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전체 근로자 중 가장 중간에 있는 사람의 소득인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50% 미만은 빈곤층, 50∼150%는 중산층, 150% 이상은 상류층으로 각각 분류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고령화로 1인 가구가 늘고 기술 진보가 가속화하면서 중산층이 감소하고 있다”며 “지난해에는 경기침체로 고소득층의 상여금 등 수입이 줄어 중산층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급속한 노령화가 중산층 감소의 대표적인 요인으로 꼽히는데, 통계청 추계인구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가 전체 가구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로 2000년 15.6%에 비해 크게 늘었다. 또 앞으로 노령화가 진전되면서 2015년 20.74%, 2030년에는 23.71%까지 올라갈 전망이다.
문제는 노령화된 1인 가구가 늘면 중산층에서 빈곤층으로 이탈하는 사람들이 증가해 사회적 불평등을 가속화한다는 데 있다. 지난해 전체 가구의 명목소득은 1.0% 상승했지만 1인 가구만 유일하게 3.6% 감소했다.
성명재 한국조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전까지만 해도 경제적 요인에 의한 불평등이 중산층 감소의 주요인이었지만 이후 고령화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며 “고령화가 앞으로 심화될 것이기 때문에 불평등이 더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상혁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