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비즈니스 영어] I’ll go first: 제가 먼저 시작하겠습니다

관련이슈 맛있는 영어

입력 : 2009-07-03 10:37:27 수정 : 2009-07-03 10:37:27

인쇄 메일 url 공유 - +

Situation: John Lee and the managers from each department are discussing item 1 with one another, now.

I agree with him on that, too

Marketing and Sales manager: OK, I’ll go first. On the day I got the memo from you, I had a meeting with my staff to figure out the needs to improve their English. What I found out was my staff really wanted to learn more about business letter writing and phone conversations, this time. They all seemed to agree that they still had many difficulties in those areas.
Manufacturing manager: In my case, most Korean workers on the production line still have problems with verbally communicating with their international counterparts.
R&D manager: I agree with him on that, too. I mean, in fact, communication problems, especially oral ones, still exist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staff in my department, too. And I think other departments would also have the same problem as he and I do.
Managers: Right.
John Lee: OK. If that’s the case, then I think we have to primarily focus on improving our staff’s English conversational skills this time also, not to mention business letter writing and phone conversations for marketing and sales.
Managers: Right.
John Lee: Any other opinions on this? OK. I think that covers item 1, then. Why don’t we move on to item 2?
Managers: Good.

상황: 좐 리와 각 부처의 과장들은 지금 항목 1에 대해서 서로 논의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저 역시 그 것에 대해 그와 동의 합니다

마케팅 영업과장: 좋습니다, 제가 먼저 시작하겠습니다. 당신으로부터 메모를 받던 날, 저는 제 직원들과 그들의 영어를 향상 시키기 위해 필요로 하는 것을 파악하기 위해 회의를 했습니다. 제가 알아낸 것은 그들은 이 번에 업무편지 작성하는 것과 전화로 대화 하는 것에 대해 정말로 더 배우기를 원한다는 것입니다. 그들 모두는 그들이 여전히 그 분야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 같았습니다.
생산과장: 제 경우는, 생산공정에서 일하는 대부분의 한국 직원들이 아직도 그들의 외국 동료들과 구두로 의사 소통을 하는데 있어 문제점이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개발과장: 저 역시 그 것에 대해 그와 동의합니다. 제 말은 사실, 의사소통 문제들, 특히 구두로의 의사소통 문제들이, 여전히 제 부서에서도 한국 직원들과 외국 직원들 사이에 존재합니다. 그리고 저는 다른 부서 또한 생산 과장님이나 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와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과장들: 맞습니다.
좐 리: 알겠습니다. 그렇다면 이 번에도 역시 우리는 우선적으로 우리 직원들의 영어회화 기량을 향상 시키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마케팅 영업부를 위한 업무편지 작성하는 것과 전화로 대화 하는 것은 물론 이구요.
과장들: 맞습니다.
좐 리: 이에 대한 다른 의견요? 좋습니다. 그렇다면, 그 것으로 항목 1은 됐다고 생각 합니다. 항목 2로 넘어가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과장들: 좋습니다.

Useful Expressions

1. I’ll go first: 제가 먼저 시작하겠습니다

  이 표현은 I’ll tell you what my opinion on item 1 is, first 즉, “제가 먼저 항목 1에 대한 제 의견이 무엇인지 말하겠습니다”의 뜻으로 한 말입니다. 여기서 go는 “시작하다” 혹은 “개시하다”의 의미로 써서 go first는 “먼저 하다”라는 뜻으로 쓴 말입니다.

2. On the day I got the memo from you, I had a meeting with my staff to figure out the needs to improve their English: 당신으로부터 메모를 받던 날, 저는 제 직원들과 그들의 영어를 향상 시키기 위해 필요로 하는 것을 파악하기 위해 회의를 했습니다

  On the day I got the memo from you는 On the day that I got the memo from you를 줄여서 한 말로 여기서 On은 특정한 날을 표시하기 위해 썼고 got something from someone은 “누구로부터 무엇을 받다”의 뜻으로 쓰는 get something from someone의 과거형으로 쓴 것으로 여기서 get은 receive 즉 “받다”의 의미로 쓴 것입니다. I had a meeting with my staff to figure out the needs to improve their English에서 had a meeting with someone은 “누구와 함께 회의를 하다”의 뜻으로 쓰는 have a meeting with someone의 과거형으로 여기서 have ~ 혹은 had ~은 “~을 하다” 혹은 “~을 했다”의 뜻으로 썼습니다. 또한 to는 부정사를 만들기 위해 쓴 것으로 여기서는 “~하기 위해서”라는 뜻으로 썼고 figure out ~은 “~을 이해하다” 혹은 “~을 파악하다”라는 뜻으로 썼으며 needs는 “필요로 하는 것들”의 뜻으로 썼습니다.


3. What I found out was my staff really wanted to learn more about business letter writing and phone conversations, this time: 제가 알아낸 것은 그들은 이 번에 업무편지 작성하는 것과 전화로 대화 하는 것에 대해 정말로 더 배우기를 원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What ~은 Something that ~ 과 같이 “~한 것”으로 풀이하며 found out ~은 “~을 알아내다, 깨닫다”의 뜻으로 쓰는 find out ~의 과거형입니다. 그리고 wanted to ~은 “~하기를 원하다”의 의미로 쓰는 want to ~의 과거형이고 learn more about ~은 “~에 대해 더 배우다”란 말입니다. 끝으로, 이미 언급 하였듯이, this time은 “이 번에는”이란 말로 “지난 번에는”은 last time 그리고 “다음 번에는”은 next time으로 씁니다.

4. They all seemed to agree that they still had many difficulties in those areas: . 그들 모두는 그들이 여전히 그 분야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 같았습니다

    Seem to ~은 “~인 것 같다” 혹은 “~하는 것 같다”의 뜻으로 쓰는 말로 여기서는 과거형인 seemed to ~으로 써서 “~하는 것 같았다”로 풀이 합니다. 그리고 agree that ~은 “~에 동의하다”이며 still은 ‘여전히” 혹은 “아직도”의 뜻으로 쓰는 말입니다. 또한, have difficulties에서 have ~은 “~이 있다”의 뜻으로 써서 이 말은 “어려움이 있다”이며 in those areas에서 in ~은 “~에 있어서” 그리고 areas는 “분야들”의 뜻으로 써서 이 말은 “그 분야에 있어서”로 풀이 합니다.

5. In my case, most Korean workers on the production line still have problems with verbally communicating with their international counterparts: 제 경우는, 생산공정에서 일하는 대부분의 한국 직원들이 아직도 그들의 외국 동료들과 구두로 의사 소통을 하는데 있어 문제점이 있다는 것입니다

  In one’s case는 “누구의 경우에는, 경우에 있어서는”의 뜻으로 쓰는 말로 여기서 case는 “경우” 혹은 “입장”의 뜻으로 썼습니다. 또한, most ~은 “대부분의 ~”이고 on the production lines에서 on ~은 “~에 있는” 혹은 “~에 일하고 있는”의 뜻으로 썼으며 line은 “열” 혹은 “줄”의 의미로 써서 production line은 “생산공정” 혹은 “생산과정”을 뜻합니다.

Have problems with ~은 “~에 문제가 있다”라는 말이고 verbally는 “말로” 혹은 “구두로” 그리고 communicating with ~은 “~와 대화를 나누는 것” 혹은 “~와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여기서 communicating 즉, “의사소통을 하는 것”은 communicate 즉, “의사소통을 하다”의 동명사로 쓴 것입니다. 끝으로, counterparts는 “같은 자격을 가진 상대인”의 뜻으로 쓴 counterpart의 복수로 써서 international counterparts는 여기서 “한국 직원들과 동등한 자격을 가지고 함께 근무하는 외국 직원들” 즉, “외국 동료들”로 풀이 합니다.

6. I agree with him on that, too: 저 역시 그 것에 대해 그와 동의합니다

Agree with someone on something은 “누구와 어떤 것에 대해 동의하다, 의견을 같이하다”라는 말입니다. 상대적으로, “누구와 어떤 것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는 disagree with someone about something을 씁니다.

예) I disagree with you about the plan: 나는 그 계획에 대해 당신과 의견이 다르다

7. I mean, in fact, communication problems, especially oral ones, still exist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staff in my department, too: 제 말은, 사실, 의사소통 문제들, 특히 구두로의 의사소통 문제들이, 여전히 제 부서에서도 한국 직원들과 외국 직원들 사이에 존재 합니다

  I mean은 What I mean is ~ 즉, “내가 뜻하는 것은” 혹은 What I’m saying is ~ 즉, “내가 말하는 것은”등의 뜻으로 쓰는 말이고 in fact는 as a matter of fact와 같이 “사실은”이란 말입니다. 그리고, communication problems, especially oral ones는 communication problems, which are especially oral ones 즉, “특히 구두로의 의사소통 문제들인 의사소통 문제들”의 의미로 쓴 것입니다. 또한, still은 “여전히” 혹은 “아직도”의 뜻으로 쓴 것이고 exist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staff in my department, too에서 exist는 “존재하다” 혹은 “있다”의 뜻으로 썼으며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staff in my department은 “내 부서에서 근무하는 한국 그리고 국제 직원들 사이에” 즉, “내 부서의 한국 직원들과 외국 직원들 사이에”의 뜻으로 쓴 것입니다.

8. I think other departments would also have the same problem as he and I do: 저는 다른 부서 또한 생산 과장님이나 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와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I think (that) ~은 “~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할 때 쓰는 말이고 other departments 즉, “다른 부서들”은 other departments’ managers 즉, “다른 부서 과장들”과 같은 의미로 쓴 말입니다. 또한, would ~에서 would는 말하는 이가 ~에 대하여 추측을 가지고 “~일 것이다” 혹은 “~할 것이다”라고 말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그리고, have the same problem as he and I do에서 the same ~ as …은 “…과 똑 같은 ~”이라는 표현을 하고자 할 때 쓰는 말로 여기서 the same problems는 “똑 같은 문제들”, as ~은 “~같은”, 그리고 do는 “~을 가지고 있다” 혹은 “~이 있다”의 의미로 쓴 앞 부분의 have를 대신해서 쓴 것입니다.


9. If that’s the case, then I think we have to primarily focus on improving our staff’s English conversational skills this time also, not to mention business letter writing and phone conversations for marketing and sales: 이 번에도 역시 우리는 우선적으로 우리 직원들의 영어회화 기량을 향상 시키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마케팅 영업부를 위한 업무편지 작성하는 것과 전화로 대화하는 것은 물론 이구요

  If that’s the case는 “그러한 경우라면” 즉, “그렇다면”이라는 뜻으로 쓴 말입니다. 그리고, have to ~은 “~해야 한다”이고 primarily는 first of all과 같이 “우선적으로”의 뜻으로 쓴 말이며 focus on ~은 “~에 초점을 맞추다” 혹은 “~에 중점을 두다”의 뜻으로 쓴 말입니다. 또한, improving our staff’s English conversational skills에서 improving은 “향상시키다”의 의미로 쓴 improve의 동명사로 “향상 시키는 것”으로 썼으며 our staff’s English conversational skills는 “우리 직원들의 영어회화 기량”으로 썼습니다.

Not to mention business letter writing and phone conversations for marketing and sales에서 not to mention ~은 without mentioning ~과 같이 “~은 물론이고” 혹은 “~은 말 할 필요없이”의 뜻으로 쓰는 말입니다. 그리고 business letter writing and phone conversations는 business letter writing skills and phone conversations skills 즉, “업무편지 작성하는 기량과 전화로 대화하는 기량”의 뜻으로 쓴 말이고 marketing and sales는 marketing and sales department 즉, “마케팅 영업부”를 말합니다.

10. Any other opinions on this?: 이에 대한 다른 의견은요?

         이 말은 Are there any other opinions on this? 혹은 Do you have any other opinions on this? 즉, “이에 대한 어떤 다른 의견들이 있습니까?”의 뜻으로 한 말입니다. 여기서 opinions on ~은 “~에 대한 의견들”이며 this는 방금 전에 좐 리가 한 “항목 1에 관한 말”을 가리킵니다.

11. I think that covers item 1, then: 그렇다면, 그 것으로 항목 1은 됐다고 생각 합니다

   여기서 that은 앞 문장의 좐 리가 한 “항목 1에 관한 말”을 가리키는 this를 대신합니다. 그리고 covers는 “~을 다루다” 혹은 “~을 담당하다”의 뜻으로 쓴 cover의 3인칭 단수 현재형입니다.

12. Why don’t we move on to item 2? 항목 2로 넘어가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Why don’t we ~?을 우리말로 그대로 옮기면 “왜 우리가 ~하지 않겠나?”이겠지만 이 말은 Let’s ~ 즉, “~하자” 혹은 How about ~? 이나 What about ~?과 같이 “~하는 것이 어떻겠느냐?”라고 상대방에게 어떤 제안이나 권유를 할 때 쓰는 말입니다. 그리고 move on to에서 move on은 “계속해서 나아가다, 진행하다”로 ~로 옮겨가다”로 이 말은 “~로 계속해서 나아가다, 진행하다”의 뜻으로 쓴 말입니다.


출처: 반석출판사, 즉석 비즈니스 영어회화 사전

정한석 박사  hanjung1@empal.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