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빈센트 반 고흐 |
‘반 고흐의 귀는 친구인 고갱이 칼로 잘랐다.’
후기 인상파의 대표적인 화가인 빈센트 반 고흐의 귀는 고갱과 다툼끝에 자신의 귀를 스스로 잘랐다는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연구가 나왔다.
독일의 예술사가인 한스 카우프만과 리타 빌데간스는 “두사람간 ‘침묵의 서약’탓에 그동안 이야기의 진실이 드러나지 않았다”며 언쟁을 벌이다 고갱이 펜싱검으로 고흐의 귀를 잘랐다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밝혔다고 영국 일간 텔레그라프가 5일 인터넷판에서 보도했다.
고갱은 침묵의 서약탓에 구속을 면할수 있었고 반 고흐는 홀딱 빠져있었던 친구와 우정을 이어가려 했으나 결국 허사로 끝나고 말았다는 설명이다. 이들은 또 2년뒤 고흐가 자살한 것도 광기가 아니라 고갱의 펜싱검 공격 탓이라고 주장했다.
그동안 ‘해바라기’와 ‘감자먹는 사람들’을 그린 네덜란드의 화가인 반 고흐는 1888년12월23일 자신의 감정을 주체하지 못해 자신의 귀를 자른 뒤 자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그 귀를 옷으로 싼 뒤 가끔 만나던 창녀에게 갖다 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독일의 예술사가들은 전혀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뛰어난 펜싱실력을 지녔던 고갱은 프랑스 남서쪽 알스지역에 위치한 반 고흐의 ‘옐로우 하우스’를 떠나려 했다. 그는 짐을 챙겨 집밖으로 나왔고 그의 손에는 검이 쥐어져 있었다.
앞서 그에게 유리잔을 집어던졌던 반 고흐가 뒤따라 나왔다. 두 사람은 창년촌에 도착했을때 다툼은 극에 달했고 고갱은 화가 나(혹은 자기방어를 위해) 검으로 고흐의 왼쪽 귓볼을 잘라냈다. 고흐는 그 귀를 창녀에게 주었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는 다음날 경찰에 이와는 전혀 다른 내용을 진술했다는 설명이다.
이는 반고흐가 고갱에게 보낸 마지막 말이 왜 “침묵해라. 나도 침묵할테니”였는지를 설명해주고 있으며 가장 논리적 해석이라는게 독일예술사가들의 주장이다.
카우퍼만은 “반 고흐의 귀 스케치에 ‘익투스(ictus)’라는 라틴어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펜싱에서 찌르기를 뜻하는 용어”라며 “또한 귀 위에 지그재그형상도 고갱의 검날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 시기에 반 고흐가 정신 발작을 겪기는 했지만 미친 상태는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카우프판은 “고갱의 자기방어전략을 위해 만들어낸 이야기였다”며 “그러나 빈센트는 회복하지 못했고 급기야 그의 자살로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주춘렬기자 clj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