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수 서울시 주택국장은 15일 “서울은 택지 자원이 고갈된 상태여서 주택을 신규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은 재개발·재건축을 활성화하는 것밖에 없다”며 “앞으로 역세권에서 주택을 집중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의 역세권은 대중교통과 직접 연결돼 있고 기반시설이 양호하다”며 “역세권에 들어서는 아파트의 용적률을 500%까지 높여 서민 주택을 많이 공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서울지역의 주택 현황을 거론하면서 “1, 2인 가구로 세분화돼 주택 부족이 계속되고 있다”며 “역세권 외에도 상당부분 주거화가 진전된 준공업지역을 신규주택 공급지로 고려하면서 시유지를 입체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주택정책 책임자의 이 같은 발언은 재개발·재건축 활성화와 임대주택 건설 촉진 등을 통해 주택공급을 꾸준히 확대하겠다는 시정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는 지난 3월 지하철역에서 도보로 7분 이내 거리(반경 500m)의 역세권 지역에서 용적률을 높여 장기전세주택 1만가구를 추가 공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이달 초에는 역세권에 장기전세주택 건립을 활성화하고 준공업지역에 아파트 건립을 촉진하는 도시계획조례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기도 했다.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건설지역은 지구단위계획 구역으로 지정된 지하철역 139곳이며, 현재 지하철 6호선 구간인 마포구 대흥역 일대 등에서 이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은 서울시가 민간사업자에게 용적률을 현행 250%에서 최고 500%까지 올려준 뒤 상향조정된 용적률에 따라 지어지는 주택의 50∼60%를 표준건축비에 근거한 가격으로 매입해 시민들에게 공급하는 것이다. 용적률이 500%로 높아지면 20층 이상의 아파트 건립이 가능해진다.
김 국장은 또 “2012년까지 10만가구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고 2015년까지 공공 임대주택 비율을 서울시 전체 주택의 10% 수준(약 30만 가구)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며 “2012년까지 4만가구의 임대주택을 추가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귀전 기자 frei5922@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