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원 삼국지(전10권)/나관중 지음/박태원 옮김/깊은샘/각 9500원
1987년부터 88년은 한국문학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된 시기다. 납북·월북작가의 해금이 그것이다.
구보라는 명칭은 몇 작가들에 의해 별칭으로 사용되고 있었지만 그게 박태원의 호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 구보 박태원도 우리에게 돌아왔다. 깊은샘에서는 저작권자인 구보의 차남 박재영씨와 계약하여 박태원 전집 출판을 시작하였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천변풍경’ ‘여인성장’ 등을 1989년부터 출판하기 시작하여 ‘갑오농민전쟁’ 등 25권이 출판되었다.
이제 삼국지가 문제였다.
박태원의 삼국지는 1941년 4월 ‘신시대’에 연재하다가 1950년부터 정음사에서 총 10권중 5권 분량이 출간되는 중 월북하게 되었다.
정치학과, 사회학과 교수들을 중심으로 모인 ‘삼국지를 사랑하는 모임’에서 박태원의 삼국지가 제일이라 평했다는 신문기사는 우리를 조급하게 하였지만 북한에서 완성하여 최고의 평을 받았다고 알려진 그의 책은 구할 수가 없었다.
![]() |
| 나관중 지음/박태원 옮김/깊은샘/각 9500원 |
드디어 삼국지를 만드는 작업에 들어갔다. 마침 250년 전의 삼국지 목판본도 구할 수 있었다. 그 책 첫째 권에는 40여명의 등장인물 소개가 그 인물성격을 표현한 각기 다른 서체와 그림으로 설명되어 있었다. 각자 인물들이 등장하는 장면 사이사이에 이 삽화들을 배치하면서 인물에 대한 한시 해석을 한성대 정후수 교수의 도움으로 해서 곁들여 놓았다.
박태원의 완역 삼국지가 전10권으로 ‘박태원 삼국지’란 이름으로 드디어 완성되었다.
시작부터 17년이 걸렸다.
박성기 깊은샘 편집주간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방산 특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348.jpg
)
![[채희창칼럼] 정년 연장 법제화 무리해선 안 돼](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336.jpg
)
![[기자가만난세상] 청년기본소득 명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262.jpg
)
![[기고] 정비사업 신속 추진, 자치구 권한 이양이 답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0/128/20251110517225.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