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DJ도 아들비리 등 파문 黨과 결별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의 임기 말은 하나같이 순탄치 못했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만 보더라도 노태우, 김영삼 전 대통령(YS)은 당과 극심한 갈등을 빚다 대선 직전 탈당했고, 김대중 전 대통령(DJ)은 각종 ‘게이트 사건’에 시달리다 대선을 7개월 앞두고 당을 떠났다.
이들 모두 겉으론 ‘공정한 대선관리’ ‘초당적 국정운영’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연이은 측근 비리 등의 어려운 정치상황 속에서 레임덕(권력누수현상)이 겹치며 마지막 카드로 탈당을 택했던 것이다.
노 전 대통령이 1992년 9월 민주자유당을 떠난 것은 당 대선후보였던 YS와의 갈등이 이유였다. YS는 3당 합당 때의 내각제 추진 밀약을 파기하고 92년 총선을 자신이 진두지휘하겠다고 나서는 등 진작부터 ‘노태우 밀어내기’에 나섰다.
노 전 대통령은 당내 파워게임에서 민정계가 YS의 민주계에 밀린 데다 사돈기업인 SK그룹에 대한 이동통신사업 허가 논란이 겹치자 탈당하고 거국내각을 구성했다.
YS 역시 대선 직전인 97년 11월 신한국당을 탈당했다. 당시 그는 한보사태와 아들 현철씨를 비롯한 민주계 실세들의 잇따른 구속,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 지원 의혹 등으로 궁지에 몰려 있었다. 여기에 검찰이 당시 새정치국민회의 대선 후보였던 DJ의 비자금 수사를 유보하자 이회창 신한국당 대선후보가 노골적으로 YS의 탈당을 요구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내가 만든 당”이라며 탈당을 거부하던 YS는 당 포항 집회에서 참석자들이 자신의 마스코트에 불을 붙이는 사건이 발생하자 결국 탈당계를 던졌다.
DJ는 2002년 5월6일 막 불거지기 시작한 세 아들의 각종 비리 연루 의혹에 대해 사과하고 민주당을 탈당했다.
이상민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