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태의 발단은 모 방송국이 1998년 10월18일 방송된 ‘국군포로 장무환 북한 탈출기’와 관련된 내용을 최근 다시 방송하면서 시작됐다.
1998년 탈북해 귀국한 국군포로 장씨의 절박한 도움 요청을 쌀쌀맞게 거절했던 주중 대사관 여직원의 태도에 네티즌의 분노가 폭발한 것이다.
문제의 장면은 분노한 네티즌이 각종 커뮤니티와 블로그 등에 해당 동영상을 퍼나르면서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방송에서 장씨는 한국대사관에 전화를 걸어 자신을 ‘국군포로’라고 밝힌 뒤 “좀 도와줄 수 없는가 해서…”라며 도움을 요청하자, 대사관 여직원은 “아, 없어요”라며 퉁명스럽게 답한 뒤 전화를 끊어버린다.
이에 각종 포털사이트는 ‘대사관녀’ 동영상과 대화록을 올려놓았고, 네티즌은 해당 여직원을 비난하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외교부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외교부 측은 22일 오전 대책회의를 열었으나 8년 전 일어난 일이어서인지 진상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 관계자는 “네티즌의 글이 올라온 것에 관심을 갖고 내용을 파악하고 있다”면서 “주중 대사관에도 경위를 파악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외교부는 이날 홈페이지에 올린 아시아태평양국 명의의 ‘국민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공식 사과문에서 “매우 부끄럽고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히고, “국군포로들이 앞으로도 안전하게 고국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종수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