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명은 ‘야스쿠니 의원 모임’ 회원 한국과 일본의 국회의원이 양국의 교류·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한 한·일 우호단체의 일본측 모임에 우익 성향 인사들이 다수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현상은 전체적으로 우경화하는 일본 사회의 흐름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세계일보가 13일 제68주년 광복절을 앞두고 일·한의원연맹 회원 258명(중의원 188명, 참의원 70명, 4월23일 기준)을 분석한 결과 ▲야스쿠니신사(靖國神社) 참배 ▲일본군위안부 부정 및 고노(河野)담화(일본군 위안부의 강제성을 인정한 담화) 수정 ▲무라야마(村山·일본의 과거 식민지지배와 침략을 인정한 담화) 수정 등을 주장하는 우익성향 의원이 82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민당 소속 의원은 152명 중 57명, 민주당은 42명 중 8명, 일본유신회는 9명 전원, 기타 8명 등이다. 이는 일본 언론 보도와 구글 검색 등을 통해 분석한 수치다.

일·한의원연맹과 야스쿠니의원 모임의 공동회원으로는 누카가 후쿠시로(額賀福志郞) 일·한의원연맹 회장을 비롯해 집권 후 고노담화 수정, 평화헌법 개정 움직임 등 우익 본색을 드러내고 있는 아베 신조(安倍晉三) 총리, 15일 각료 자격으로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선언한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행정개혁담당상, 재일동포에 대한 참정권 부여에 반대하는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전 방위청 장관도 포함됐다.
한·일 양국의 국회의원, 재계, 학계, 문화계, 여성계 인사 등이 참여하는 일·한협력위원회도 현역 국회의원 간부 4명 중 3명이 우익 성향인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나치식 개헌’ 발언을 한 ‘망언(妄言) 제조기’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가 회장 대행, 방한 기간 중 강창희 국회의장에게 ‘오는 말이 고와야 가는 말이 곱다’는 발언을 해 파문을 일으켰던 고노이케 요시타나(鴻池祥肇) 참의원(상원) 의원이 부이사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주일 외교관은 “참 걱정이다. 일본 국회에도 역사 인식이 부족한 전후(戰後)세대가 주력부대로 등장하면서 새로운 국가 위상을 정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런 현상이 갈수록 심화돼 한·일 관계의 미래가 걱정된다”고 밝혔다. 국립외교원 조양현 교수는 “전후세대 정치인이 점점 많아지면서 과거사에 대해 편향된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며 “전후세대를 중심으로 우리의 대일본 외교를 강화하는 동시에 일본 스스로 이런 문제를 직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김청중·정선형·김채연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