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日제품 통관 강화… 경제보복 가시화
양국 다 경제 악영향… 확전 가능성 적어 센카쿠제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싸고 중국과 일본 간의 일촉즉발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 내 반일 데모는 줄었지만 센카쿠를 두고 중국 해양감시선 등이 일본 순시선과 대치 중이고 인근 해상에 중국 군함까지 나타나면서 양국은 초긴장 상태로 빠져들었다. 20일 센카쿠 주변 해역에서는 중국 해양감시선·어정선과 일본순시선 간 대치가 3일째 이어진 가운데 중국 군함 2척까지 출현했다. 중국 어선단 700여척과 23척도 각각 센카쿠 주변 235㎞, 111㎞ 이내에서 조업 중이다.
중국은 센카쿠 주변 해역의 어업감시선과 해양감시선을 증강해 상시 배치키로 했다. 어선과 감시선의 관민 공조 체제를 구축해 일본을 압박하는 한편 감시선의 상시 순찰을 통해 센카쿠를 영토분쟁 지역으로 부각시키려는 의도다.
중국 내 강경분위기도 여전하다. 홍콩 문회보에 따르면 지난 15일 베이징에서 열린 좌담회에 참석한 중국군 장성 5명 가운데 한 명은 “일본 자위대가 댜오위다오의 중국 해역 12해리 내에 진입하거나 중국의 민간 선박이 공격받는 경우 군사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나머지도 주전론을 전개했다.
![]() |
중국 해양감시선(아래쪽)과 일본 순시선(경비선)이 18일 동중국해 센카쿠제도(중국명 댜오위다오) 해역에서 나란히 항해하며 대치하고 있다.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은 일본의 해상자위함 이동에 맞서 20일 군함 2척을 센카쿠 인근 해상에 배치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
다만 센카쿠 대치가 국지전 양상으로 비화할 가능성은 작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양쪽 다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데다 경제적 악영향은 막대하기 때문이다. 미국이 개입할 여지도 만들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일본의 센카쿠 국유화 조치에 대한 보복으로 일본 제품에 대한 통관을 강화했다. 이날 중국 톈진시 세관 당국은 복수의 일본계 기업에 대해 전자제품 등의 원재료 수입과 관련 검사 비율을 강화하겠다고 통보했다. 상하이 세관 당국은 이미 일본에 수출되는 화학제품 원재료를 대상으로 통상 10%정도의 검사비율을 100%로 올려 전량 검사를 하고 있다. 칭다오 세관 당국도 일본산 수입 부품에 대해 전량검사를 시작해 통관이 지체되고 있다. 일본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의도적 통관 지연은 기업 입장에선 제품의 납품 기일을 맞출 수 없어 엄청난 타격이다.
한편 양국간 대화 모색도 시도되고 있다. 일본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는 19일 밤 TV 아사히에 출연해 센카쿠 국유화 의도 등을 설명하기 위해 중국에 특사를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洪磊) 대변인도 “일본 정부는 담판을 통한 문제 해결의 길로 돌아와야 한다”고 대화의 손짓을 보냈다.
베이징·도쿄=주춘렬·김용출 특파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