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 반(反)한나라당 전선’이 그려질 것인가. 아니면 ‘여·야·무소속 3자 구도’가 만들어질 것인가. 키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이 쥔 형국이다. 10·26 서울시장 보선 후보 중 현재까진 ‘적수가 없는’ 안 원장이다. 그런 그가 야권 ‘통합후보’로 얘기되는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에게 후보 자리를 양보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선거판이 다시 출렁이고 있다.

일각에선 안 원장의 시선이 서울시장보다 내년 대선을 겨냥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안 원장이 시장 불출마 후 발걸음을 대권 행보로 돌리면 단숨에 야권의 유력 대선주자 반열에 오르면서 대선 지형까지도 요동을 칠 수 있다.
물론 안 원장이 ‘시장 단독 출마’를 강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면 여·야·무소속 후보 간 3자 구도가 불가피해진다. 안 원장은 판에 뛰어들지 여부를 고심 중이지만 일단 ‘출전 선언’을 하면 ‘완주’하겠다는 생각이 확고하다. “저는 하면 하고, 아니면 아니다”고 못박은 것이다.
현재로선 박 상임이사의 출마 의지가 강해 안 원장만 나설 확률은 희박한 편이다.
현재까지 지지도 조사를 보면 여당 후보와 야당 후보, 안 원장(무소속 입후보 시)의 3자 대결에서도 안 원장은 확실한 우위다. 하지만 안 원장은 자신의 선택에 있어 ‘높은 당선 가능성’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고 일축했다. “내가 출마하더라도 한나라당이 서울시장을 다시 차지하면 안 된다는 점에서 야권 진영과의 단일화는 얼마든지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이 버팀목으로 삼는 대목도 안 원장이 반한나라당 성향을 ‘커밍아웃’한 부분이다. 적어도 한나라당에 시장 자리를 내어줄 수는 없다는 게 분명해진 만큼 결국은 ‘통합의 무대’라는 큰 틀로 들어오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이다.
야권에서 ‘후보 단일화’를 압박하는 여론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야권 통합 조율사로 나선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안 원장이 독자적인 길을 걷는다면 한나라당 후보에게 어부지리를 안겨주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야4당 대표와 원탁회의가 보선에 공동 대응키로 합의했다”며 “안 원장도 함께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김형구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