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백악관 “카다피 퇴진 위해 동맹국들과 조치 협의중”

입력 : 2011-03-01 01:52:25 수정 : 2011-03-01 01:52:25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제사회 ‘카다피 압박’ 가속화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 체제를 종식시키기 위한 국제사회의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

미국 백악관은 28일(현지시간) 리비아 사태의 해결방안 가운데 하나는 무아마르 카다피가 해외망명을 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언론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하고 “리비아를 비행금지 구역으로 선포하는 방안을 포함해 카다피의 퇴진을 위해 필요한 조치들을 놓고 동맹국들과 협의를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리비아를 비행금지 구역으로 선포하는 것은 카다피 정권이 반정부 시위대 진압을 위한 군용기 사용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카니 대변인은 설명했다.

미국은 또 군 병력을 투입, 리비아의 통신을 교란하는 방안과 튀니지 또는 이집트로의 난민 탈출로 확보에 나서는 방안도 함께 논의 중이라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도 이날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위원회에 참석, 연설을 통해 “리비아 유혈사태 종식을 위해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해 유엔 차원의 적극적이고 단호한 조치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유럽연합(EU)은 이날 카다피 국가원수와 그의 가족 및 측근에 대한 자산 동결과 비자 발급을 중단하는 제재안을 승인했다. EU는 무기류와 최루탄 등 반정부 세력을 무력으로 진압하는 데 사용될 우려가 있는 물품의 수출도 금지하기로 했다.

프랑스의 프랑수아 피용 총리는 군사적 개입 가능성을 시사했다. 피용 총리는 이날 RTL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카다피가 스스로 물러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깨우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든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며 “나는 사람들이 군사적인 해결을 얘기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프랑스 정부는 그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같은 날 국제형사재판소(ICC)는 반정부 시위대를 진압하는데 무자비하게 무력을 사용한 카다피 정권의 행위에 대한 예비조사에 착수했다.

루이스 모레노 오캄포 ICC 수석검사는 “무고한 양민에 대해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공격이 이뤄진 정황에 비추어 이는 반 인류 범죄에 해당할 수 있고 반드시 중단돼야 한다”며 예비 조사가 시작됐음을 확인했다. 모레노 오캄포 수석검사는 “우리는 신속하고 공정하게 일을 진행할 것”이라며 “범죄 행위에 연루된 지도자가 처벌을 받지 않는 경우는 있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영국 정부도 카다피와 자녀 5명 등에 대한 자국 내 자산 동결 조치를 내리고 카다피 일가에 대한 외교적 면책특권을 박탈했으며, 캐나다는 리비아 중앙은행의 금융거래 금지 등 독자적인 제재를 시행키로 했다. 러시아는 리비아 정부에 민간인을 향한 무력 사용 중단을 촉구했다.

워싱턴=조남규 특파원

오피니언

포토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
  • 유진 '강렬한 눈빛'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