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부 ‘對중동 외교’ 외연 넓힌다

입력 : 2011-03-01 01:53:09 수정 : 2011-03-01 01:53:0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중동지역 상황 급변… 경제에 치중 한계
이집트에 문화원 설립 등 교류 다각화
정부가 대중동 외교를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동 지역을 휩쓸고 있는 ‘재스민 혁명’을 계기로 지금까지의 경제분야 편중 외교로는 중동 지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경제적으로 특수한 관계에 놓인 중동지역 외교정책의 방향을 어떻게 잡을지 주목된다.

외교통상부는 28일 대중동 정책 방향의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보고, ‘대중동 외교 강화 방안 보고서’ 작성에 착수했다. 관련 연구기관이 용역을 받아 1차 보고서를 작성하면 중동 현지에 있는 재외공관장들의 의견을 받아 수정·보완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지금까지의 경제 분야에 한정된 외교의 외연을 확대하고, 문화 분야를 강화하는 등 총력 체제로 외교의 방향을 잡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우선 중동 지역의 주요 국가인 이집트와 이란에 문화원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중동 지역을 상대로 문화 외교의 폭을 넓혀 한국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겠다는 의도다. 정부는 최근 이집트가 시민혁명을 거친 과도기적 상황이라는 점을 감안해 이집트의 전반적인 상황을 살펴보면서 문화원 설립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동 지역 정치체제의 특성상 정치권 인사나 사회지도층 인사들과의 상호방문을 추진하는 등 인적 교류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이 당국자는 이와 관련, “어느 한쪽으로만 치우친 외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중동 지역과의 상생 외교, 협력 외교를 기치로 문화 분야, 교류협력 분야의 외교를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지난해 이란, 리비아 등과의 외교 갈등과 최근 중동의 급변 사태로 인해 중동 지역을 상대로 한 외교의 폭과 깊이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공감대가 외교부 내에서 형성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정부는 리비아 주재 국정원 직원이 추방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리비아와 외교 갈등을 겪었고, 이란 핵문제와 관련해 미국의 대이란 제재 동참 문제를 놓고 이란 정부와도 마찰을 빚었다. 당시 일각에서는 경제 문제 때문에 우리 정부가 리비아와 이란에 강력하게 입장을 표명하지 못했다는 비난이 일었다.

이우승 기자 wslee@segye.com

오피니언

포토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
  • 유진 '강렬한 눈빛'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