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성관 검찰총장 내정 철회’ 사태와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가 대표적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인선 속도를 조절했고, 개편 시기는 계속 늦춰졌다.
이 대통령은 일찌감치 통합·변화의 개각 콘셉트를 정하고, 이에 맞는 비(非)영남권 출신 총리를 찾는 데 주력했다는 후문이다. 심대평 자유선진당 전 대표에 대한 총리 제안은 실제로 추진됐다. 그러나 ‘심대평 카드’가 무산되면서 이 대통령의 눈길은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쪽으로 확 쏠린 것으로 알려졌다.
정 내정자는 초기부터 후보군에 들었으나, 적극 검토된 것은 최근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내부에선 정 내정자의 반여(反與) 성향을 우려해 반대도 없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이 과정에서 정정길 대통령실장,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 등이 정 내정자를 강력히 천거해 큰 영향을 미쳤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정 내정자는 개각 전날 정 실장을 만나 수락 의사를 밝혔다는 전언이다. 청와대 측은 3일 “개각 명단이 확정된 2일 오후 정 내정자가 오케이를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발표를 앞두고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정 내정자와 회동했다.
청와대는 또 미리부터 최경환 의원 입각을 결정했고, 이를 박근혜 전 대표 측에 알려줬다고 한다.
이번 인선 작업도 지난번처럼 ‘철통보안’ 속에서 이뤄졌다. 이런 탓에 개각이 초읽기에 들어가선 ‘박근혜 총리기용설’까지 나돌아 여당에서 청와대에 확인 요청이 쇄도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허범구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