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보수·악성 민원 등 영향 커
청년 공시생(공무원 시험 준비생) 수가 4년 전에 비해 반 토막 나며 통계 집계 이래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에 비해 낮은 처우 등으로 인기가 급감한 영향이란 분석이다.
2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20∼34세 비경제활동인구 중 지난 일주일 동안 7급·9급 등 ‘일반직 공무원’(경찰·소방·군무원 포함)을 준비한 청년은 12만9000명으로 지난해보다 3만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소치로, 최근 4년간 계속해서 하락한 결과다.

일반직 공무원 준비 청년은 5월 기준 2017년 30만6000명에서 2018년(24만2000명)과 2019년(24만8000명)엔 24만명대로 대폭 줄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한 2020년엔 26만8000명, 이듬해엔 31만3000명으로 크게 늘었다. 감염병 여파로 민간 기업 취업의 문이 좁아진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하지만 엔데믹(풍토병화) 전환 뒤인 2022년 23만9000명으로 7만3000명 급감했고, 2023년 21만4000명으로 줄어든 뒤 지난해(15만9000명) 10만명대에 진입하고 올해는 더 줄었다. 정점인 2021년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쪼그라든 셈이다.
교직, 공기업도 비슷한 양상이다. 교원 임용을 준비한 청년은 2020년 4만명이었으나 매년 하락을 거듭해 지난해 2만3000명을 기록한 뒤 올해(2만4000명)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처럼 공무원의 인기가 시들해진 원인으로 낮은 보수, 악성 민원, 조직문화 등이 꼽힌다. 인사혁신처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공무원 약 2만70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복수응답)에 따르면 공무원 지원자 감소 이유로 ‘민간에 비해 낮은 보수’를 선택한 응답자는 88.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악성 민원으로 인한 스트레스’(39.8%), ‘수직적인 조직문화’(15.9%) 순이었다.
지난달 전국공무원노동조합 2030청년위원회는 인재들이 경제적 이유로 공직을 떠나고 있다며 임금과 열악한 처우 개선을 요구하기도 했다. 올해 공무원 보수는 지난해보다 3.0% 인상됐다. 8년 만에 최대 폭 인상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