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이르면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다.
파월 의장은 22일(현지시간)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잭슨홀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실업률과 다른 노동시장 지표의 안정성은 우리가 정책 기조 변화를 고려할 때 신중하게 나아갈 수 있도록 해준다"고 말했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이 제약적 영역에 있는 상황에서 기본 전망과, 변화하는 위험의 균형은 우리의 정책 기조 조정을 정당화해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는 이르면 다음 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현재 4.25∼4.50%인 기준금리를 하향 조정할 여지를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상반기 경제성장률이 1.2%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5%보다 둔화한 상황에서 고용과 물가라는 위험요소가 균형을 이룬 가운데 정책 기조를 금리 인하로 조정할 수 있다는 발언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파월 의장은 이 같은 '변화하는 위험의 균형'에 대해 "인플레이션 위험은 상방으로 기울어 있고, 고용 위험은 하방으로 기울어 있는, 도전적인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목표가 이처럼 긴장 관계에 있을 때, 우리의 프레임워크는 이중 책무의 양 측면을 균형 있게 맞출 것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물가와 고용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율 인상과 이민 제한 정책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다고도 지적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가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효과는 이제 분명하게 보인다"며 "이는 향후 몇 달 동안 축적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물가 상승에 미치는 관세의 영향이 "단기적·일회성"일 수도 있고, "더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을 촉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파월 의장은 또 지난 5∼7월의 일자리 증가 규모가 시장의 예상을 큰 폭으로 밑돌았음에도 "7월 실업률은 소폭 상승한 4.2%로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이라고 짚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제한 정책과 경기 둔화에 따른 구직 활동 감소로 "노동 공급과 수요가 모두 뚜렷하게 둔화한 결과 나타난 이상한 종류의 균형(curious kind of balance)"이라고 평가했다.
파월 의장은 "통화정책은 정해진 궤도에 있는 게 아니며, FOMC 위원들은 경제 전망과 위험 균형에 대한 데이터를 평가하고 그 함의에 근거해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