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조현 외교부 장관이 이재명 대통령의 한·일 정상회담 일정에 동행하지 않고, 곧바로 미국으로 향한 것과 관련 방미가 미리 계획돼 있었다는 입장을 밝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2일 기자간담회에서 조 장관의 방미 이유를 묻는 말에 “외교장관은 (이 대통령의) 방미 출발 전에 방미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면서 “(한·미 정상회담) 직전에 가서 마지막 점검을 하고 조율을 할 계획이 있었고, 그 과정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통상교섭본부장도 성공적 정상회담 위해 점검하는 절차에 있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조 장관의 방미가 미국의 농축산물 추가 개방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과 관련해 “농축산물 개방은 그간 한·미가 진행해온 무역교섭 이슈 중 하나”라면서 “진전이 특별히 있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조 장관이 농축산물 때문에 미국에 갔느냐고 하면 그건 아니다”라고 말하고, “농축산물이 협의가 되고 있다고 한 것은 미국이 (추가 개방을) 제기하고 있기 때문에 드린 말씀이지 (개방이 불가하다는) 우리 입장은 다르지 않고,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위 실장은 조 장관이 일본을 거치지 않은 것과 관련해 “일본에는 특별히 마지막 점검한다거나 조율할 필요가 상대적으로 적다”면서 “미국은 경제 통상, 안보 분야 새로운 도전이 있고 안정이 중요한 목표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일본과의 정상회담에서 김대중-오부치 선언 수준의 발표가 나올 가능성은 적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그렇게 하기엔 준비 기간이 짧았고, 이번에는 약식회담이고 셔틀외교 일환으로 빨리 준비가 됐다”면서 “그런 큰 결과물을 내놓기에는 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다음 과제로 둬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위 실장은 “다만 한가지 말할 수 있는 것은 한·일 관계가 분위기가 좋다”면서 “정부 출범 전에 일본이나 일각에서 걱정이 있었을 수 있지만, 지금 벌어지고 있는 건 많은 사람들이 예상한 것보다 괜찮다”고 말했다.
한편 위 실장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참석할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겠죠. 두 정상이 올 가능성이 올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그렇게 되면 회동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미·중 정상회담은 현안이라고 볼 수 있다”면서 “미·중 정상이 서로 (상대국을) 오고 갈 것이냐. 그러기에 여건이 충분치 않다면 제3의 지역이 이야기될 수 있는데 그럼 에이펙이 될 수 있지 않느냐”고 조심스레 관측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