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선균 수사 정보 유출 경찰관, 파면 불복 소송 1심서 패소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8-22 13:52:51 수정 : 2025-08-22 13:52:50
인천=배상철 기자 bsc@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마약을 투약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다가 숨진 배우 이선균(48)씨에 대한 수사 정보를 유출한 경찰관이 파면 처분에 불복해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다.

 

인천지법 행정1-3부 장유진 부장판사는 전직 경위인 30대 A씨가 인천경찰청장을 상대로 낸 파면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고 22일 밝혔다.

 

2024년 3월 23일 마약 투약 혐의로 수사를 받다가 숨진 배우 이선균(48) 씨의 수사 정보를 유출한 의혹을 받아 공무상 비밀누설 및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는 인천경찰청 소속 경찰관 A씨가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남부경찰서 유치장에서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A씨는 2023년 10월 이씨 마약 의혹 사건의 수사 진행 상황을 담은 자료인 수사진행 보고서를 사진으로 찍어 전송하는 방식 등으로 B씨 등 기자 2명에게 유출한 혐의를 받는다.

 

그가 유출한 보고서는 인천경찰청 마약범죄수사계가 2023년 10월 18일 작성한 것이다. 이씨 마약 의혹 사건과 관련한 대상자 이름과 전과, 신분, 직업 등 인적 사항이 담겼다.

 

자료를 B씨로부터 전달받은 한 연예 매체는 이씨 사망 이튿날인 2023년 12월 28일 이 보고서 편집본 사진과 내용을 보도했다.

 

인천경찰청은 징계위원회를 거쳐 성실 의무와 비밀엄수 의무 등을 어긴 책임을 물어 A씨에게 파면 처분을 했다. 파면은 경찰 공무원의 징계 중 해임·강등·정직 등과 함께 중징계에 포함된다.

 

A씨는 징계에 불복, 소청 심사를 청구했다. 기각되자 억울하다며 지난 2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A씨는 "경찰과 기자 사이의 통상적인 관계를 고려하면 기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협조한 것 자체가 크게 비난받을 일이라고 볼 수 없다"며 "비위 행위를 깊이 반성하고 있는 데다 10년간 경찰로서 성실하게 근무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파면은 지나치게 무거워 위법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법원은 징계 사유가 정당하고 관련 절차도 적법하게 진행됐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A씨는 직무 성격상 고도의 준법성과 직무 윤리가 요구되는 경찰"이라며 "수사 중인 사건 피의자 개인정보보호와 수사내용 보안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는 직위에 있었다"고 판단했다.

 

이어 "수사대상자의 입건 여부는 유출될 경우 수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며 "피고인은 권한 없이 취득한 정보를 무단 유출해 수사 대상자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경찰 직무의 공공성을 훼손해 비위의 정도가 매우 무겁다"고 판결 이유를 밝혔다.

 

A씨는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다. 서울고법 인천원외재판부에서 항소심이 진행될 예정이다.

 

그는 공무상비밀누설 등 혐의로도 재판에 넘겨져 인천지법에서 재판 절차가 진행 중이다.

 

앞서 이씨 수사 상황을 2차례 지역신문 기자에게 알려준 인천지검 수사관도 A씨와 함께 재판에 넘겨졌다.

 

이씨는 2023년 10월 14일 형사 입건돼 2개월간 3차례에 걸쳐 경찰 소환 조사를 받았다. 3번째 조사 나흘 뒤인 그해 12월 26일 서울 종로구 와룡공원 인근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인천=배상철 기자 b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
  • 김태희 ‘눈부신 미모’
  •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
  • 손예진 '우아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