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출입문 코레일이 관리…열차접근 시야 확보 가능하고 대피장소도 충분
7명의 사상자를 낸 경북 청도군 경부선 열차 사고가 명백한 '인재'라는 정황이 확인되고 있다.
사고 당시 안전점검 작업 예정 장소에서 10여m 떨어진 곳에 코레일이 관리하는 안전 출입문이 있었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하청 근로자들은 수백m 떨어진 곳에서 위험을 감수하면서 선로 주변 좁은 길 등을 이용, 작업 장소에 접근하려다 사고를 당했다.

코레일 측의 '탁상행정'이 이번 참사를 불러왔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사고와 관련해 코레일 측은 당초 점검하려던 옹벽 훼손 여부 확인 현장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철길을 따라 수백m 이동이 필요하다고 설명을 한 바 있다.
사고로 다친 한 60대 작업자도 "작업 장소까지는 수백m를 걸어가야 했다"고 경찰에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21일 연합뉴스 취재 결과, 코레일 측의 설명은 사실과 달랐다.
이날 사고 지점에서 100여m 떨어진 곳에 코레일이 관리하는 안전 출입문이 있는 것이 연합뉴스 취재진에 확인됐다. 작업 예정지점과는 불과 10여m 거리에 있다.
출입문에는 '승인된 자에 한해 출입 가능하며, 위반시 철도안전법에 따라 처벌됨. 경산시설팀 경부하선 356.880km(우) 5-093 주소 :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1321'이라는 경고문이 붙어 있다.

관리 주체는 코레일 대구본부 대구 시설사업소라고 표기돼 있다.
해당 출입문은 인근 놀이공원 내에 있으며, 위험한 철길이 아닌 안전한 도로 및 인도를 따라 접근이 가능하다.
특히 해당 출입문으로 선로에 접근하면 양옆으로 충분한 시야가 확보됐다.
아울러 상·하행 선로에 오갈 수 있는 안전 통로가 설치돼 있어 어느 선로이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어 보였다. 선로 옆 대피 공간도 충분했다.
사고 지점은 하행선 356.730㎞이고, 코레일 측이 이날 밝힌 당초 작업 예정 현장은 하행선 356.870km 지점이다.

해당 출입문(하행선 356.880km)으로 접근했더라면 사고 작업자들은 10m만 선로 주변을 걸었으면 됐다.
사고 작업자들은 시야와 대피장소가 확보된 상태에서 선로와 2m 안전거리를 두고서 충분히 작업이 가능했다.
코레일 측은 "사고 작업자들이 현장 이동까지 별다른 작업을 하지는 않았고 오직 이동만 했다"고 밝힌 만큼 사고 작업자들이 수백m를 위험한 선로로 걷지 않고 해당 출입문을 이용했더라면 이번 사고는 충분히 예방할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