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이 문화강국으로 나갈 수 있게 하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 등 그 토대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이 대통령은 20일 아리랑 TV ‘K-Pop : The Next Chapter’에 나와 대한민국이 문화국가로 나아가기 위해 “튼튼한 뿌리를 만드는 역할을 정부가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방송은 넷플릭스 영화 ‘K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와 K팝의 성공 이후 한국문화의 확장성과 새로운 가능성을 조망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는 케더헌을 제작한 매기 강 감독과 영화의 오리지널 송 ‘take down(테이크 다운)’을 부른 아이돌 그룹 트와이스의 지효·정연, 프로듀서 R.Tee(알티), 평론가 김영대씨가 함께했다.
이 대통령은 “정치인·행정가 입장에서는 최종 결과물도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성공한 아티스트, 성공한 작품이 중요한데, 많은 가능성 중에 극히 일부”라고 현 대한민국 문화산업의 현실을 짚었다. 그러면서 “정부가 관심 가져야 될 부분은 이런 토대를 제대로 만들어 내는 것. 각 문화예술분야에 기회를 골고루 만들어서 누구나 한 번쯤 도전해 볼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우리나라가 “대한민국의 기초 근본적 체력은 튼튼하다. 모든 것을 다 수용한다. 포용적이다”라며 발전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이 대통령은 “기초는 있는데 이 속에서 사람들이 개별 예술가 문화가들이 활동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것 자체는 지금 매우 어려운상황”이라며 “그 토양을 만들어 내고 씨를 뿌리고 그런 것이 정부가 해야 될 역할”이라고 재차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우리 문화에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대한민국처럼 소위 민주화가 되고 산업화가 된 나라가 없다. 앞으로도 큰 호기심을 유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감독 역시 “우리 문화를 숨기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싶었다”며 정직하게 표현한 것이 케데헌의 주요 성공 요인 중 하나라고 꼽았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이 문화강국으로서 어디까지 왔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이제 초입에 들어섰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실제로 대한민국의 문화 정책은 김대중 대통령때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봐야한다. 지금부터는 다시 2단계를 시작해야 된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이 대통령은 “물질적으로 풍족하지만 사실 너무 허탈하고 힘들고 갈등적이다. 그 속을 부드럽게 메우는 한국 문화의 힘이라고 하는 것을 제대로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라며 “개인, 기업의 노력에만 맡길 수 없는 것이고 토대를 찬찬히 잘 갖춰서 대한민국 산업의 핵심산업이 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마무리 발언에서 이 대통령은 “물질적으로 세상이 풍요로워지는 것은 한계가 있다. 결국 사람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게 중요한 미래 과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얼마나 빨리 선착하느냐가 중요할 텐데,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국민들이 자부심을 느끼고 국가적으로 자랑스러운 문화국가로 나갈 수 있다”며 “그렇게 만들 생각이다. 많은 대한민국 국민에게 기회를 만들어 드려야 한다”고 다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