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출산율은 일본보다 낮은데”… 한국 30대 여성만 경력단절되는 이유

입력 : 2025-08-20 17:38:23 수정 : 2025-08-20 17:38:22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아이와 함께하는 엄마의 모습. 한국은 자녀 돌봄과 교육에서 어머니 역할이 길게 이어지며 여성의 경제활동 단절로 연결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양다훈 기자

 

한국 30대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일본·대만과 다른 흐름을 보이는 이유가 ‘자녀 교육에서 어머니의 비중’에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도쿄대 세치야마 가쿠 교수는 20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아시아 브리프’ 기고문에서 한국, 일본, 대만 여성의 고용률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내놨다.

 

연령별 여성 고용률을 그래프로 그리면 30대에서 뚝 떨어졌다가 다시 회복하는 M자 형태가 나타난다. 이를 ‘M 커브 곡선’이라 부른다. 한국과 일본에선 공통적으로 관찰되지만, 대만에선 나타나지 않았다.

 

실제로 2023년 국내 여성 고용률을 보면 25~29세 74.3%에서 30대 초반 71.3%, 30대 후반 64.7%까지 떨어졌다. 반면 대만은 큰 변동 없이 완만하게 이어진다.

 

한·일·대만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제공

 

가쿠 교수는 “대만, 중국, 홍콩, 싱가포르 등 중화권 사회는 ‘아이 곁엔 반드시 엄마가 있어야 한다’는 규범이 강하지 않다”며 “30대는 일을 가장 잘할 시기라는 인식이 강해 보육시설이나 조부모에게 아이를 맡기며 일을 이어간다”고 설명했다.

 

한국과 일본 모두 ‘엄마 역할’이 강조되지만, 양상은 다르다. 일본은 여전히 ‘3세 신화’가 남아 있어 아이가 3살이 될 때까지는 엄마가 돌보는 게 자연스럽다고 여긴다. 하지만 초등학교 입학 이후엔 여성들이 파트타임으로 일을 재개하는 경우가 많다. 학습 지도 역시 학교와 학원이 맡는 구조라 부모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반면 한국은 대학 입시까지 ‘엄마의 돌봄·관리’가 이어진다. 가쿠 교수는 “한국에선 고등학교 이후까지 어머니의 역할이 강하게 지속된다”며 “2010년대 유행한 ‘기러기 아빠’ 현상만 봐도, 자녀 교육에 엄마가 얼마나 밀착돼 있는지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주목할 대목은 출산율 차이다. 일본 합계출산율은 1.3명, 한국은 0.8명으로 한국이 더 낮다. 아이가 적은 만큼 여성의 경력 단절 폭도 작을 것 같지만, 오히려 한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엄마가 끝까지 아이 교육을 책임져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여전히 강력하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분석이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
  • 김태희 ‘눈부신 미모’
  •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
  • 손예진 '우아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