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뉴스인사이드] "비만 한 숟갈 주세요" 비만은 '전염병'입니다

입력 : 2016-04-08 19:05:02 수정 : 2016-04-09 02:40:0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세계 각국 설탕세 도입 등 퇴치 올인
'
세계 각국이 비만과의 전쟁에 나서고 있다. 영국이 지난달 설탕세 도입을 천명한 데 이어 우리나라도 비만, 당뇨 등 만성질환의 주범인 당류 조절에 칼을 빼들었다. 체중을 줄이면 금을 주는 기상천외한 이벤트가 등장했고, 탄산음료 대신 물을 마시라는 권고는 이제 흔해졌다.

8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4년 전 세계 18세 이상 성인의 39%인 19억명이 과체중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38%, 여성의 40%가 과체중이다. 18세 이상 성인의 13%인 6억명은 비만 상태다. 남성의 11%, 여성의 15%가 비만인 것으로 집계됐다. 몸무게(㎏)를 키(m)를 제곱한 수로 나눈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이면 과체중,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된다.

앞서 WHO는 1996년 비만을 ‘21세기 신종 전염병’으로 지목,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으로 취급했다. 비만세의 일종인 설탕세에 대한 논의는 이보다도 먼저 시작됐다. 하지만 식품업계 등의 반발과 거둬들인 세금이 비만 퇴치에 제대로 쓰일지에 대한 우려, 비만을 심각하지 않게 받아들이는 안일한 인식 등으로 도입은 차일피일 미뤄졌다.


그러는 사이 최대 비만국인 미국 등에서 충격적인 결과가 이어졌다. 미국 청년의 30% 이상이 몸무게 때문에 군입대가 위태롭다거나 전체 소방관의 절반이 과체중이라는 보고서가 나왔다.

이에 비만세를 도입한 나라도 있다. 덴마크는 이미 지방이 들어간 식품에 비만세를 부과하고, 헝가리도 과자류와 청량음료에 일종의 비만세인 ‘감자칩세’를 도입했다. 업계 반발은 여전하다.

비만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페루 등 중남미 국가, 아랍에미리트(UAE)·쿠웨이트·카타르 등 중동 국가들도 비만을 퇴치하고 국민 건강을 되찾기 위해 갖가지 방안을 시도하고 있다.

영국이 10년 이상 논란이 된 설탕세 도입에 나서고, 정부가 뒤늦게라도 초·중·고교에 커피 자판기 설치를 제한하기로 한 것은 더 이상 비만 문제를 미뤄둬서는 안 된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했다는 분석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2012년 OECD 34개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성인의 평균 비만율이 18.4%에 달했다. 이는 5명 중 1명이 BMI 30 이상인 비만이라는 얘기인데, 통상 여성이 남성보다 비만율이 더 높게 나타난다.

비만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패스트푸드의 천국인 미국이다. 어른 100명 중 35명이 비만이다. 미국 성인 비만율은 1976∼1980년 15%에서 2007∼2008년 34%로 약 2배 증가했다. 특히 2011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68%인 2억1000만명이 과체중이나 비만으로 나타났다.

1990년 초 비만율 15%를 넘는 주가 없었던 미국은 20년 만에 미시시피주 등 12개 이상의 주가 비만율 30%를 넘어서면서 사회 문제로 부각됐다. 청년의 30% 이상이 입대하기 힘들 정도로 무겁고, 소방관의 절반가량인 50만명이 과체중이라는 충격적인 보도도 이어졌다. 비만율 증가로 당뇨병과 고혈압 비율도 덩달아 증가했다.

멕시코(32.4%), 뉴질랜드(31.3%), 헝가리(28.5%), 호주(28.3%)는 OECD 국가 중 비만율이 미국 다음으로 높다.특히 세계에서 탄산음료 소비량이 가장 많은 멕시코 외에, 농수산물 수출국임에도 가공식품 섭취율이 높은 칠레와 패스트푸드 체인점이 과잉상태인 페루 등 중남미 국가들의 비만율은 상당하다. 칠레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2014년 칠레 인구의 68%가 비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동 국가들도 비만으로 앓고 있다. 산유국이 되면서 생활이 윤택해져 걷기보다 자동차를 이용하고, 운동보다 쇼핑 등을 선호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UAE의 경우 전체 남성의 50% 이상, 여성의 60% 이상이 과체중이나 비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중순 영국 조지 오스본 재무장관이 2016~2017년 예산안을 의회에 제출하면서 설탕세를 2년 안에 도입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비만과의 전쟁에 불을 붙였다. 이처럼 청량음료나 패스트푸드 등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은 1994년 예일대 심리학과 켈리 브라우넬 교수가 뉴욕타임스 기고에서 처음 제안했다. 2003년 영국의학협회가 지방이 많은 음식에 17% 이상의 부가세를 물리자고 제시하는 등 비만세 논의가 활발했지만 식품업계 저항으로 10년 이상 지체되고 있다. 최근 영국의 설탕세 도입 방침도 업계 저항에 부닥칠 것으로 보인다.

노르웨이와 멕시코 등은 이미 설탕세를 도입했다.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멕시코는 설탕세를 시행한 후 탄산음료 소비량이 6%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과의 전쟁에 세금 부과만 활용된 것은 아니다. UAE 최대 도시인 두바이 정부는 2013년 비만 방지 프로그램인 ‘더 유어 웨이트 인 골드(The Your Weight in Gold)’를 시행했다. 한 달간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1㎏ 감량 시 정부가 금 1g을 지급하고, 최대 감량자 3명에게는 5500달러 상당의 금을 주는 ‘극약 처방’이다.

개인의 다이어트 열풍도 커지고 있다. 미국 리서치 회사의 조사에서 미국 국민 7500만명이 다이어트를 시도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2010년 기준 미국 다이어트 시장은 609억달러로 2년 전에 비해 3.4% 증가했다. 2006년 540억달러였던 건강보조식품 시장 매출도 2013년 770억달러로 성장했다.

정재영 기자 sisleyj@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정은채 '반가운 손 인사'
  • 정은채 '반가운 손 인사'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