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고] 유엔외교, 국제사회 공감시켜야 한다

관련이슈 기고

입력 : 2015-09-24 21:06:56 수정 : 2015-09-24 21:06:5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박근혜 대통령은 빡빡한 해외 일정을 소화하게 됐다. 25일부터 28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개발정상회의 및 제70차 유엔총회에 참석하기 때문이다. 특히 분단 70년을 맞은 한국 대통령으로서는 70돌을 맞는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는 감회가 남다를 것이다.

박 대통령이 총회 참석차 유엔본부를 찾는 것은 두 번째다. 그러나 이번 유엔총회는 유엔 창설 70주년을 맞아 열리는 만큼 역대 최대 규모로 미·중·일·러 등 한반도 주변 4강의 정상을 포함해 프란치스코 교황까지 참석할 예정이다. 명실상부한 정상외교의 장이다. 외교전문가 사이에선 ‘외교 전쟁’이란 표현까지 등장하고 있다. 28일엔 박 대통령이 오바마 대통령, 시진핑 주석, 푸틴 대통령과 나란히 연단에 서서 기조연설을 하게 된다.

문순보 자유민주연구원 안보전략연구실장
원론적인 수준에서 생각해볼 때 박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통일의 당위성, 북핵 문제 해결 등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동참을 호소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 각국의 주요 정상이나 고위 관리가 참석하는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분단과 북한의 위협이라는 한국적 특수성만을 강조하기보다 한반도 통일에 대한 지지를 끌어내는 외교 역량을 선보였으면 한다.

최근 터키 해변에서 엎드려 숨진 채 발견된 시리아 난민 꼬마 아일란 쿠르디의 사연은 전 세계를 눈물바다로 만들었다. 엉덩이를 쳐들고 고개를 옆으로 기울인 채 힘없이 쓰러진 꼬마의 사진 한 장은 유럽 주요국가의 난민정책을 극적으로 변경시켰다.

북한 주민이야말로 전 세계에 존재하는 가장 규모가 큰 난민집단이다. 물론 전쟁이나 이념 갈등으로 발생한 재화를 피하기 위해 다른 나라나 다른 지방으로 가는 사람이라는 난민의 사전적 정의에는 맞지 않지만, 북한 주민들은 정치·사회적 재난을 당한 사람이라는 의미에서 난민(難民)이다. 그들은 시리아나 아프가니스탄의 난민처럼 함부로 이동도 못하기 때문에 자신의 비참한 처지를 외부에 적극적으로 알리지도 못하고 독재정권의 철권통치 아래서 신음하고 있다. 시리아 난민 꼬마의 이야기보다 더 기구하고 비참한 알려지지 않은 얘기들이 비일비재하다. 다행히 지난해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보고서가 발표되고 유엔 차원에서 북한 주민의 인권문제를 공론화함으로써 국제사회의 주의를 환기시키긴 했지만, 북한 당국은 여전히 인권 탄압을 멈추지 않고 있다.

박 대통령이 이번 유엔 외교를 통해 한반도 분단 70년을 종식시킬 평화통일을 강조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평화통일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채로운 접근법을 구사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감성과 이성이 잘 조화된 박 대통령의 어법은 북한 인권 문제의 해결을 위한 평화통일의 당위성을 국제사회에 설득하고 적극적인 지지를 끌어내기에 모자람이 없다고 생각된다. 유엔이라는 큰 무대에서는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자유·민주·인권 등 보편적 가치의 구현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춰 유엔 외교를 전개해 나가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모쪼록 박 대통령의 유엔방문이 한반도 안정과 나아가 세계 평화에 큰 결실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

문순보 자유민주연구원 안보전략연구실장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정은채 '반가운 손 인사'
  • 정은채 '반가운 손 인사'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