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원칙 뭉개고 실패 잊은 사회…제2 세월호 나올 수도"

관련이슈 여객선 '세월호' 침몰 사고

입력 : 2015-04-07 20:48:06 수정 : 2015-04-07 22:30:2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재난 반복사회’ 펴낸 김석철 원자력기술원 책임연구원
“남영호·서해페리호·충주 유람선·세월호 등 대형 재난사고는 우연치 않게 20년 주기로 발생했습니다. 놀라운 것은 과적과 불법 설계변경, 무리한 운항 등 하나같이 원인이 똑같고 이후 내놓은 정부의 대책 역시 한결같다는 거죠. 실패를 자산화하는 사회적 노력 부족이 반복적인 재난을 불러왔던 겁니다.”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원전안전 전문가가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해법을 제시하는 책을 펴내 주목된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책임연구원인 김석철(56) 박사가 돌팔매를 맞을 각오로 썼다는 ‘재난 반복사회’다.

특수재난관리 전문가인 김석철 박사는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아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국민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에서 내 가족을 누가 지킬 것인가’란 부제에서 알 수 있듯 여느 주장과 달리 국민 스스로의 자구 노력을 강조한 것이 눈길을 끈다.

7일 만난 그는 “우리 사회는 안전사고가 상존하는 ‘위험사회’에 이미 진입했다”며 “중요한 것은 스스로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렇다면 세월호 참사는 어떤 의미여야 할까.

“세월호 참사도 원칙을 지키고 안전문화가 정착됐다면 막거나 희생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정부의 재난관리 정책이나 시스템을 질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민 스스로 이를 인식하고 예방을 생활화하는 것이 필요해요. 그러자면 정부와 국민 간 소통이 먼저 이뤄져야 합니다.”

28년간 특수재난관리 전문가로 활동해온 그는 “정부는 위험이 입증되기 전까진 ‘안전하다’고 판단하고 국민은 안전이 입증되기 전까진 ‘위험하다’고 여긴다. 따라서 정부는 재난 예방투자에 인색하고 국민은 사고만 나면 정부 탓을 할 수밖에 없다”면서 “그 차이를 줄여 불신을 극복하는 노력이 이제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형사고 때마다 한국을 떠나겠다는 사람들이 나오고 정부가 원망스러운 심정도 이해한다”는 그는 “그러나 되돌아보면 정답은 우리 스스로에게 있다”고 강조했다.

국제원자력기구 핵검증 팀장과 후쿠시마 원전사고 상황실장 등의 위험관리 경험을 바탕으로 그가 내놓은 해법은 위기관리의 한축으로 국민 스스로 안전사고 예방을 생활화하는 것이다. 어느 사고나 반드시 전조가 있는 만큼 평소 리스크를 관리하는 습관이 문화로 자리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진이 많은 일본에서는 방석조차 대피용으로 의자에 묶어놓지 않는다”고 소개한 그는 일례로 가정마다 ‘재해지도’를 만들어 볼 것을 제안했다.

재해나 사고 발생 시 전기나 가스시설, 심지어 가구의 위치가 우리의 안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도식화해 가족과 공유하면 웬만한 안전사고는 대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박사는 “안전문화는 사고 예방은 물론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국가적으로는 사회적 복원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며 정부에도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문했다. 그는 “정부가 전시효과가 작은 예방적인 투자에 인색한 것은 오래된 사실이고 재난대처도 사후 피해 최소화에 맞춰져 있을 뿐 원인이나 발생 상황을 사전에 없애거나 통제하는 예방정책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재난대처용 매뉴얼도 여전히 1970년대 전시대비용이다. 재난 때 15일치 식량 비축을 권장하지만 유네스코는 3∼4일분 비축”이라며 “시대 상황에 맞게 매뉴얼을 손질하고 일본이나 중국의 원전사고나 전염병 유입 등 대외적 원인에 대응할 수 있는 재난대책도 간과해선 안 된다”고 힘주어 말했다.

대전=글·사진 임정재 기자 jjim6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
  •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
  • 수지 '하트 여신'
  • 탕웨이 '순백의 여신'
  • 트리플에스 코토네 '예쁨 폭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