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지구촌 전기차 총출동… 녹색섬 제주 달구다

입력 : 2015-03-09 21:00:11 수정 : 2015-03-10 10:02:26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제2회 국제전기자동차 엑스포 개막 지난 6일 제2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IEVE)가 개막한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국내 판매 중인 차종 외 곧 시판에 들어갈 고가의 전기차도 심심치 않게 눈에 띄었다. 앞으로 한국 시장을 어떻게 공략할지 가늠하기 위해 엑스포에 참가한 중국 업체도 많았다. 환경부는 올해 전국에 보급할 전기차의 절반가량을 제주에 배정했고, 제주시는 지난해처럼 엑스포 기간 도민 대상으로 시승과 공모에 나섰다. 여기다 한국전력공사는 KT, 현대·기아차 등과 손잡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 유료화 사업을 본격화했다. 올가을쯤 제주에는 일반 주유소처럼 돈을 내고 전기를 제공받는 전기차 충전소가 처음 생길 전망이다. IEVE를 통해 국내 전기차 산업의 현재를 살펴봤다.

◆韓·獨·日 3파전에 中 추가

올해 엑스포 참가업체는 76개로 지난해의 2배 정도가 됐다. 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 BMW, 닛산, 파워프라자는 민간공모 대상인 전기차를 선보였고, 미국 디트로이트 일렉트릭의 국내 판매업체가 전시장 3층에 1억5000만원짜리 스포츠카 ‘SP01’을, 국내 기업인 해피그린모터스는 1층에 4500만원 정도인 로드스터 ‘티타니아’를 전시했다. 

디트로이트 일렉트릭 ‘SP01’
LG화학은 전기자전거와 전기스쿠터 등이 모인 5층 전시장의 메인 부스에 전기배터리 시스템 등을 전시했고, LG화학 부스 인근에 국내 업체 파워큐브와 독일 보쉬가 함께 만든 전기차 휴대용 충전기 등이 자리를 차지했다.

제주 전기차 민간공모에 ‘리프’로 뒤늦게 뛰어든 한국닛산의 다케히코 기쿠치 대표는 “올해 제주에서 전년 대비 10배 이상 늘어난 150대 이상 파는 게 목표이고, 다른 지역 판매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말 본사 부회장이 제주를 찾는 등 전기차 공모에 큰 관심을 보인 닛산은 전시장 곳곳에 광고물을 부착하는 등 가장 적극적이었다.

‘유일한 세단형 전기차’를 마케팅 요소로 내세운 르노삼성은 올해 ‘SM3’ 전기택시 확대에 사활을 걸었다. 박동훈 부사장이 “올해 전기차 1000대를 팔겠다”며 “일반 전기차는 한명이 타지만 전기택시는 하루에 20명이 이용하는 만큼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 이유다. 현재 전기택시는 전국에 16대뿐이다.

르노삼성 SM3 전기택시
이번 엑스포에서 가장 눈에 띈 건 중국 업체들이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지분을 사들인 중국 업체 BYD는 이미 전기차를 판매 중인 한국과 독일, 일본 업체의 부스 옆에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형 ‘e6’ 2대와 충전기를 전시했다. 중국에서 택시와 경찰차로 쓰이는 e6는 미국, 영국, 벨기에 등에도 택시 용도로 수출되는 등 3600여대가 운행 중이다.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300㎞에 달하는 e6의 중국 판매가격은 36만9000위안(약 6500만원)인데, 정부 보조금을 받으면 약 5000만원에 살 수 있다. BYD는 연내 인증을 마치고 e6를 한국에 출시하고, 30인승 전기버스인 ‘K9’ 출시도 검토 중이다.

해피그린모터스 ‘티타니아’
상하이자동차는 중국 배터리 업체인 위나동방의 한국 지사를 통해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35·50인승 전기버스로 먼저 국내 시장을 두드릴 전망이다. 위나동방은 상하이버스로 국내에 진출한 뒤, 충남에 배터리 생산공장도 만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1958년 설립된 중국 2대 버스업체 종통버스도 한국 철도기업 우진산전과 영업권 계약을 맺고 40인승 이상인 전기버스를 내년에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업체들은 승용 전기차 외에 제주도 전기버스 공모사업에도 관심이 많다. 제주도는 올해 전기버스 49대를 처음으로 보급한다.

중국 BYD의 전기차 ‘e6’
◆가을부터 제주는 전기차 천국


환경부는 올해 전국에 보급할 전기차 3090대 중 절반가량인 1515대를 제주에 배정했다. 이중 관용차 27대를 뺀 1488대가 민간대상이고, 하반기 출시되는 1t 전기트럭 5대를 제외한 1483대가 상반기 제주에서 주인을 찾는다. 기아차의 ‘레이’와 ‘쏘울’, 르노삼성의 ‘SM3’, 한국GM ‘스파크’, BMW ‘i3’, 닛산의 ‘리프’, 파워프라자의 0.5t 화물전기차 ‘라보 피스’ 등 7종이 보급된다. 이전에 비해 보급대상 차종은 큰 차이가 없지만 물량이 확대됐다. 현재 제주에 850여대의 전기차가 운행 중인데, 올해 보급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되면 가을쯤 2300여대로 대폭 늘어난다.

전기차 산업 성장의 걸림돌로 지적된 충전 인프라도 가을쯤 제주에서 전환기를 맞게 된다. 한국전력 주도로 KT, 현대·기아차, KDB자산금융, 비긴스, 제주스마트그리드협동조합은 오는 5월 전기차 유료충전 서비스 사업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 2017년까지 200억원을 투자해 유료 충전기 3750기를 보급할 계획이다. 제주는 지역별로 필요한 충전기 개수가 달라 충전소마다 1∼3개의 충전기가 소요된다고 가정하면, 올해 모두 100기가 약 50곳의 충전소에 설치될 전망이다.

이미 포스코ICT, 이마트 등과 유료 충전소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BMW코리아는 한전이 SPC를 통해 관련 사업을 여러 업체와 공동 추진하면서 난감한 처지에 놓였다. 업계 관계자는 “결국 전기차 충전사업에서 요금을 책정하는 한전이 주도하는 SPC 사업이 주가 될 것”이라며 “전기차 유료 충전사업에 먼저 뛰어든 BMW로서는 난감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서귀포=정재영 기자 sisleyj@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신은수 ‘심쿵’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
  • 김태희 ‘눈부신 미모’
  •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