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대변인은 이날 세계일보 특별기획취재팀과 전화 통화에서 이같이 밝히고 “공신력 있는 모금단체로 보내시라고 해도 그쪽으로 보내기 싫고 직접 전달하고 싶다고 하셔서 다 무시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우리가 통장을 만들어 받을 수도 없어 (다른 창구를)고민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족 뜻과 상관없이 시작된 경제5단체 등의 ‘세월호 참사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국가안전 인프라 구축 성금’에 대해서는 “준조세 성격으로 정부에서 요청했을 것 아닌가. 그쪽은 관심없고 개입하고 싶지도 않다”며 “우리 의사와 관계없이 시작된 모금인 만큼 용도를 밝혀야지 성금으로 표현을 하니 일반 사람들은 우리한테 오는 것으로 알지 않나”고 지적했다.
지난 4월28일 유족회가 성금 모금 중단을 요청했던 배경에 대해서는 “돈 모아달라고 한 적도 없는데 일부 몇몇이 성금 사기행각으로 구속되기도 하고, 재미삼아 얘기하는 사람도 있어 가족들이 상처받고 힘들어서 얘기한 것”이라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향후 세월호 관련 추모재단 설립 문제에 대해 유 대변인은 “부모님들이 공통적으로 생각하는 게 교통사고처럼 보상금 받고 끝날 게 아니라 (세월호 참사의)의미를 평생 살려야 한다는 것”이라며 유족회 분위기를 설명했다.
한편 세월호 희생자 가족대책위는 이날 ▲진상조사 ▲장례·추모사업 ▲실종자 가족 지원 ▲심리치료 및 생계지원 등 4개 분과를 만들어 대책위 업무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각 분과는 파트장 등 3명의 집행부로 구성되며 분과별 파트장 4명이 대책위 부위원장을 겸임하기로 했다.
특별기획취재팀=박성준·김수미·오현태 기자 special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