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추모공원이 안전의 성지 됐으면”

관련이슈 국민성금도 바로 세우자

입력 : 2014-05-26 18:52:31 수정 : 2014-05-26 22:07:55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민성금도 바로 세우자] 세월호 가족대책위 유경근 대변인 “세월호 희생자 추모공원(가칭)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성지가 됐으면 합니다. 희생된 우리 아이들을 추모하는 곳이 아니라 안전한 사회에 대한 모든 것이 담긴, 안전에 대해 다시 한 번 되돌아보고 깨닫는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이 희생의 뜻을 기리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직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세월호 사고 실종자가 16명. 조금 더 먼저 피붙이를 찾은 유가족의 고통도 가시지 않아 국민성금과 추모사업을 거론하는 것이 모두 조심스럽다. 하지만 아픔을 나누고자 조심스럽게 보내오는 국민의 정성을 막을 수도, 마냥 외면할 수도 없다. 차가운 바닷 속에서 스러져간 희생자들의 마지막 안식처도 하루빨리 찾아줘야 한다. 부모, 형제를 여의거나 참척(慘慽)의 고통을 겪고 있는 세월호 유가족에게 미안함을 무릅쓰고 국민성금의 용도와 추모사업 방향에 대해 물어봐야 하는 이유다.

세월호 희생자 가족대책위원회 유경근(사진) 대변인은 25, 26일 저녁 세계일보와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세월호 국민성금과 추모사업에 대한 유족들의 고민을 전했다.

―유가족이 ‘성금 모금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는데도 여러 곳에서 모금 운동을 하고 있는데 어떤 입장인가.

“국민이 어떻게든 위로하고 싶어하는데 우리가 ‘해라, 마라’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는 전국재해구호협회나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같은 공신력 있는 모금단체로 보내시라고 해도 그쪽으로 보내기 싫다고 하신다. 과거 사례를 보면 제대로 전달이 안 됐거나 이거 저거 떼고, 재단이다 뭐다 만드는 데 써버리니 직접 주겠다는 것이다.”

―경제 5단체를 중심으로 기업들이 안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성금을 내고 있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나.

“기업에서 크게 내시는 것도 있지만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그건 어차피 정부가 관리할 테니. 다만 정부나 각종 단체에서 ‘유족 동의 없이는 (성금을) 쓰지 않겠다’는 표현을 많이들 하시던데 어떤 용도이건 투명하게 쓰이기만을 바란다. 유가족 입장에서 불안하고 불편한 것은 ‘성금 몇백억 모였다’고 하면 국민들은 그 큰 돈이 다 유가족에게 오는 줄 아신다. 막말로 “돈 벌었네” 이렇게 말씀하시는 분도 있어 너무 괴롭다. 우리 의사와 관계 없이 별도 목적에 의해 모금했으면 용도를 정확히 밝혀야 한다. 안 그러면 받지도 않은 성금에 대해 우리가 나서서 해명해야 한다. 성금이란 표현을 하니 우리한테 오는 것으로 알지 않나. 내용도 모르고 받은 적도 없고, 이런 게 마음 아프다.”

―추모사업에 대한 논의가 조심스럽게 시작되고 있다. 대구지하철참사 후 대구에서는 추모공원 부지 선정을 두고 지역주민과 유족, 대구시 간 갈등과 상처가 많았는데 논의가 이뤄졌는가.

“대구시 사례를 잘 알기 때문에 어떻게 풀지 몇몇 유족이 고민하고 있다. 지역 주민과 정면으로 부딪치는 선택은 안 할 것 같다. (추모공원의) 의미를 살리는 게 중요하니 어떻게든 잘 되리라 믿는다. 추모재단 출연 문제는 이번 사고로 ‘안산시’ 하면 안 좋은 이미지만 떠오르는데, 최고로 안전한 도시로 만들면 어떨까 하는 얘기도 나왔다. 그러려면 재단도 필요하겠지만 지금은 거기까지 생각할 겨를이 없다.”

특별기획취재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이주빈 '깜찍한 볼콕'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