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통령까지… 2000만명 개인정보 털렸다

입력 : 2014-01-19 18:41:41 수정 : 2014-01-20 07:57:5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3개 카드사 이어 시중은행서도… 금융당국 수장 포함 대량 유출
2차 피해 우려… 집단소송 번질 듯
금융권 개인정보 유출 파문이 일파만파로 커지는 가운데 집단소송 움직임도 확산하고 있다. 외국계 은행과 카드사, 저축은행, 캐피털사에 이어 시중은행에서도 고객 정보가 대규모로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유출 사태 피해자는 최대 20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금융감독당국 수장인 신제윤 금융위원장, 최수현 금융감독원장과 해당 금융사 최고경영자도 포함됐으며, 이름과 생년월일로 볼 때 박근혜 대통령이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으로 추정되는 사람의 개인정보도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권 고위관계자는 “사실상 경제활동을 하는 국민 모두가 정보를 털린 상황”이라고 말했다. 파생 범죄로 스미싱(신종 문자결제사기)도 활개를 쳐 2차 피해 우려도 커지면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카드와 롯데카드, 농협카드에서 1억400만건의 고객정보가 유출되는 과정에서 국민은행, 농협은행 등 시중은행 고객 정보도 대량으로 빠져나갔다. 해당 카드사들은 지난 17일 오후부터 정보 유출 본인 확인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자신이 이용하는 은행의 개인 정보가 모두 빠져나갔다는 피해자 항의가 쇄도하고 있다.

카드사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 이후 포털사이트에는 카드 3사를 상대로 집단소송인을 모집하는 카페 3곳이 생겨 하루 조회 수가 수천 건에 달하고 있다.

카페를 운영하는 변호사들은 다음달까지 1000∼2000명의 소송인을 모집한 뒤 카드사를 상대로 위자료 청구 소송을 벌일 예정이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국민카드가 같은 계열인 국민은행과 정보를 공유하다 보니 국민은행 고객 정보도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른 결제은행 정보가 모두 노출됐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유출된 개인 정보는 이름, 휴대전화번호, 직장전화번호, 자택전화번호, 주민번호, 직장주소, 자택주소, 직장정보, 주거상황, 결제계좌, 결제일, 신용한도금액, 결혼 여부, 자가용보유 유무, 신용등급 등 최대 19건으로 스미싱, 보이스피싱과 같은 범죄에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 최근 고객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하라는 등의 카드사 사칭 문자메시지를 발송해 은행 계좌번호나 비밀번호 등 금융 정보를 탈취하려는 사례가 적발됐다.

서필웅·오영탁 기자 seose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나연 '깜찍한 브이'
  • 나연 '깜찍한 브이'
  • 시그니처 지원 '깜찍하게'
  • 케플러 강예서 '시크한 매력'
  • 솔지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