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건설·하천 준설 구슬땀… “홍수예방·관광명물 기대”
“일자리 뺏기고 환경파괴”… 골재 노조원들 항의방문
‘4대강 살리기 사업’을 둘러싼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정부와 정치권, 시민단체는 환경 보전, 공사 속도 조절, 예산 집중 문제 등을 놓고 한 치의 물러섬 없이 공방을 벌이고 있다. 찬성과 반대 주장이 워낙 첨예하게 부닥치다 보니 국민의 혼란도 가중되는 형국이다. 4대강 사업 현장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논란이 그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지 3회에 걸쳐 살펴본다.
![]() |
◇4대강 살리기 공사가 한창인 경기 여주군 삼합리 남한강변에 멸종위기종 2급인 단양쑥부쟁이가 자생하고 있음을 알리는 표지판과 경계선이 설치돼 있다. |
지난달 31일 대구시 달성군 논공읍 하리에 있는 낙동강 22공구 ‘달성보’ 건설 현장. 지난해 12월2일 ‘낙동강살리기 희망선포식’ 당시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방문한 이곳은 대표적인 4대강 사업공구다. 낙동강 사업공구 중 면적이 가장 넓지만 16%의 공정률로 진척 속도는 가장 빠르다.
3단계로 나눠 시행되는 보 공사는 현재 1단계가 진행 중이다. 낙동강의 수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보의 수문이 부착될 구조물을 만드는 과정이다.
보라고는 하지만 완공 후 전체 길이가 580m에 달하고 그 위에 설치되는 공도교까지의 높이는 해수면으로부터 25m나 된다.
수자원공사 달성보건설단 김성효 건설관리차장은 “달성보는 홍수를 예방하고 건기에 농·취수를 확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며 “공도교에 전망대가 설치되고 강변에는 타임캡슐 광장이 들어서 관광자원으로도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1400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도 생산한다. 발주처인 수자원공사는 내년 12월 말까지 공사가 완료되면 달성보가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보 공사현장 양 옆으론 강 바닥의 흙을 퍼나르는 포클레인과 덤프트럭 여러 대가 보인다. 22공구의 총 연장은 38㎞로 하루 200여대의 중장비가 동원돼 곳곳에서 쉴 새 없이 준설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24시간 중단 없이 공사가 진행되는 달성보는 4대강 사업의 모범사례로, 지난 1월 정운찬 총리가 다녀가기도 했다. 지금도 일주일에 4∼5일은 정치인, 고위공직자, 관계 공무원 등이 이곳을 찾는다.
그러나 달성보에서도 공사 반대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이날도 대구·경북지역 골재원 노동조합 소속 조합원들이 공사장에 찾아와 출입을 막는 현장 관계자들과 승강이를 벌였다. 4대강 사업이 지역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빼앗고 환경을 파괴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노동조합 권태완 위원장은 “4대강 사업으로 인근 33개 골재 채취업체에서 일하는 350여명이 일자리를 잃거나 잃을 위기에 처했다”고 말했다. 사업이 시작되며 골재 채취 허가나 갱신이 이뤄지지 않아 더 이상 작업을 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그는 “대부분의 작업은 중장비를 동원해 이뤄지고, 그나마 고용되는 사람들도 외국인 노동자”라며 “4대강 공사가 시작되면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던 정부의 약속은 거짓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달성보 공사현장 둑 위에 수십m 길이로 세워진 ‘꿈! 행복! 우리의 희망에너지, 낙동강 살리기’라는 입간판과는 반대로 이들은 4대강 공사로 꿈과 희망을 잃은 셈이다.
현지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신병휴(64)씨는 “농토 2300평 중 공사지역에 포함된 하천 내 1000여평의 농토에서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신씨는 “농사 지을 땅이 줄어들면서 농지 임대료가 2배로 뛰어 대체지를 구하기도 쉽지 않다”고 하소연했다. 하지만 공사 시행사 측은 문제점을 자꾸 들추기보다 공사가 끝난 뒤 효과를 생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행사인 현대건설 달성보 현장 이상호 관리부장은 “지구정비와 친수공간 조성, 자전거 도로 설치 등을 통해 지가가 상승하고 관광객 유입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며 “대부분의 지역주민들은 공사를 찬성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달성=엄형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