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활동의 목적은 다르다. 정부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하게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반면 시민·환경단체가 중심이 된 민간에서는 공사로 인한 오염, 생태계 파괴 사례를 고발해 4대강 사업을 백지화시키겠다고 벼른다. 어쨌든 민관 모두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4대 강의 변화를 관찰하고 있다.
정부는 공사 중 환경영향 관리와 완료 후 유지·관리 방안을 마련해 오염사고를 대비하고 친환경적인 관리를 이어간다는 방안을 세웠다. 공사 중 수질 관리를 위해서는 ‘수질오염통합방제센터’가 설립돼 오염 사고 예방과 사고발생 시 방제를 담당하고 있다.
오염 예방에는 국가자동수질측정망, 수질원격감시체계, 탁수모니터링시스템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질 관련 데이터를 취합한다. 관련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발생하면 센터는 해당 지자체 등에 연락해 수질 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사고 발생 때 초동 대응은 지자체가 담당하지만 요청이 있으면 센터도 인력과 장비를 지원한다.
사업 완료 후 유지·관리에는 홍수예보, 물관리 등에 최신 기술을 도입하고 전담조직을 보강할 계획이다. 환경관리공단 김대갑 팀장은 “공사현장을 매일 순찰하는 등 사고 예방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민·환경단체 등은 4대강 각각의 거점지역을 중심으로 개별 감시활동을 벌이고 있다. 한강은 경기 여주에서 활동이 활발하고, 낙동강은 부산·대구·마산 등에 있는 환경단체들이 담당한다. 영산강은 광주, 금강은 대전이 중심이다. 이들은 공사현장을 직접 찾아 탁수 발생, 오탁방지막 설치 상태, 퇴적토 유출, 멸종위기종 훼손 등을 감시한다.
일반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스마트한 4대강 감시단’도 모집 중이다. 시민들이 스마트폰과 트위터를 활용해 가능한 한 신속하게 현장 상황을 고발하도록 한 것이다.
4대강 사업 저지 범대위의 한숙영 간사는 “탁수, 침수 등 발생 우려가 높아지는 장마철에는 감시활동이 강화될 것”이라며 “4대강 사업으로 인한 환경파괴를 지속적으로 고발하겠다”고 말했다. 한 간사는 “민간단체의 지적이 있어도 정부가 전혀 대응을 않는다. 감시체계가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가 의심스럽다”고 꼬집었다.
강구열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