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7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4대강 살리기 합동보고대회’를 갖고, 다음달 말 마스터플랜을 공식 발표한 뒤 주민보상 등의 절차를 거쳐 9월부터 가능한 구간부터 동시다발적으로 ‘4대강 살리기 사업’ 착공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날 보고대회에서 국토해양부는 물부족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하도 정비, 농업용 저수지 증설, 중소규모 댐 건설 등을 통해 12억5000만t의 용수를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댐 건설과 관련해 기존에 계획된 경북 영주 송리원댐과 영천 보현댐을 차질 없이 건설하고 안동댐과 임하댐을 도수로로 연결키로 했다.
또 주요 하천을 생활·여가·관광·문화·녹색성장 등이 어우러지는 다기능 복합공간으로 개선키로 했다.
이 과정에서 환경부는 환경영향평가의 내실화를 위해 ‘4대강 살리기 평가단’을 구성하는 한편 좋은 물 달성 목표를 오는 2015년 85%에서 2012년 90% 수준으로 앞당겨 실현하는 등 4대강 수질오염 통합방제 및 생태계 복원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국내 일부에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정치이념적으로 해석하려는 의도가 일부 있다”며 “우리는 신속하면서도 매우 완벽하게 서로의 의견을 모아 이 사업을 추진해 나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강갑수·허범구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