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여신업계에 이어 은행권도 해킹 공격으로 유심(USIM) 정보가 유출된 SK텔레콤(SKT) 고객의 본인인증 절차를 강화한다.
28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은 해킹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SKT 고객에 한해 얼굴인증 프로세스를 추가하기로 했다.

하나은행은 29일부터 비대면 계좌 개설 시 SKT 이용자에 대해 안면인식 등 추가 인증 절차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한 SK텔레콤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금융거래 이상 탐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고도화해 운영 중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모바일 앱에서 신규 거래 시 휴대폰 본인확인만으로는 이용이 제한되며, 계좌 비밀번호 확인 등 추가 인증 절차가 필요하다”며 “더불어 이상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이상 거래가 의심되는 경우 계좌 지급정지 등의 조치를 안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은행은 이날 오후 5시부터 SKT 고객에 한해 인증서 발급 시 얼굴인증을 추가로 요구한다. 신한은행은 고객이 기존과 다른 휴대폰 기기(미사용 기기 포함)로 전자금융을 이용할 경우 ARS 인증 대신 휴대폰 안면 인증을 진행한다.
우리은행도 고객이 다른 휴대기기에서 전자금융거래를 할 경우 안면인식 과정을 거쳐 ‘WON인증서’를 재발급하도록 한다. 이번 SKT 해킹에 사용된 악성코드에 대한 전수 점검 및 차단 조치도 병행한다.
농협은행은 SKT 해킹 사고와 관련해 유심 사기 의심 거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보험업계도 이번 해킹 사고와 관련해 대응에 나섰다. 앞서 KB라이프는 지난 25일 SK텔레콤과 SKT 알뜰폰 인증을 제한했다. 농협생명도 이날부터 이틀간 SK텔레콤 휴대전화 인증을 전면 중단할 방침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