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 상담전화 인력 2.5배 늘리고
年 10만명에 심리상담 지원키로
27개 자치구에 마음상담소 설치
취약층 밀집 동네 ‘생명지킴이’ 지정
서울시가 그동안 자살시도자 등 고위험군을 집중적으로 관리했던 정책 방향을 넓혀 앞으로는 일반 시민들이 평소에 마음건강을 돌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25개 자치구별 1곳 이상의 ‘마음상담소’를 설치하고, 24시간 자살예방상담 인력을 2.5배 늘린다. 시는 시민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극단적 상황을 최소화해 2030년까지 자살률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현재의 절반 수준까지 낮추겠다고 선포했다.
28일 서울시가 발표한 ‘자살예방 종합계획’에 따르면 시는 2030년까지 서울시민 자살률을 50% 이상 줄여 OECD 평균 수준까지 낮추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이번 계획은 시가 이달 21일 내놓은 ‘고립은둔종합대책―외로움 없는 서울’의 후속·세부 대책이다. 지난해 서울시민 10만명당 자살률은 23.2명으로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 27.3명보다는 낮았지만, OECD 국가 평균 10.7명에 비해 현저하게 높다.
시는 우선 24시간 자살예방상담 ‘마음이음’ 상담전화(1577-0199) 인력을 2026년까지 현재 12명에서 30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자살예방 상담의 경우 한번 전화를 하면 긴 시간 통화가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정된 상담사가 모든 상담자를 응대하기 어려워 간혹 오랜 시간 대기하는 경우가 있었다. 전화상담 외에도 카카오톡, 챗봇, 문자 상담 등 다양한 방식을 추가해 상담 편의를 개선한다.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시민 누구나 민간의 전문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올해 2만명을 시작으로 매년 대상을 확대해 2027년부터는 매년 10만명에게 상담을 제공할 방침이다. 상담은 주 1회(50분 이상) 총 8주간 제공하며, 1인당 지원금액은 회당 8만원이다.
현재 9개 자치구에서 11곳 운영 중인 마음상담소는 2026년까지 전 자치구 27곳으로 확대된다. 정신건강전문요원과 임상심리전문가들이 마음건강에 대한 1차 상담을 하고 필요하면 민간심리기관을 연계해준다.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서울형 자살예방 통합모델’도 구축한다. 1인가구·알코올중독 중년 밀집 등 자살률이 높은 지역을 ‘동행촌 생명존중 마을’(가칭)로 지정한다. 동네 병원, 상점, 통반장 등이 자살 고위험군 발굴, 맞춤형 지원, 자살위험 수단 차단 등 생명지킴이 역할을 담당하는 차원이다.
아울러 동네 병의원과 협력해 자살 고위험군을 초기에 발굴하고 필요한 상담을 연계한다. 동네 병원에서 1차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우울증 건강설문’과 ‘자살행동 척도 진단’ 등을 실시하고 필요하면 지역보건소, 시 자살예방센터 등으로 연계해 심층상담을 실시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