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중국 인구 따라잡는 인도, ‘포스트 차이나’ 될 수 있을까 [뉴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3-01-21 22:19:24 수정 : 2023-01-21 22:19:2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중국 인구가 61년 만에 감소하면서 인도가 예상보다 빨리 세계 인구 최다 국가에 올라서게 됐다. 출생자 수가 적은 중국의 인구가 이미 감소세에 접어든 반면 인도의 인구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인도가 ‘포스트 차이나’의 지위를 이어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장밋빛 미래만 인도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폭증하는 인구를 감당할 만한 일자리가 부족하고 특히 여성 일자리가 빈약하다는 점, 사회 기반 시설 미비 등은 과제로 꼽힌다.

힌두교 신자들이 21일(현지시간) 인도 북부 우타르프라데시주 프라야그라지에서 연례 종교 행사를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인도, 이미 중국 인구 따라잡았나

 

지난 17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말 중국 인구를 전년 대비 85만 명 줄어든 14억1175만명이라고 발표했다. 956만명이 태어나고 1041만명이 사망해 연간 출생자보다 사망자 수가 많아 인구가 감소하는 ‘데드 크로스’가 발생한 것이다. 중국 인구가 감소한 것은 1961년 이후 61년 만에 처음이다.

 

유엔은 지난해 ‘세계 인구 전망 2022’ 보고서에서 올해 중에 인도 인구가 중국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엔은 보고서에서 지난해 인도의 인구를 14억1700만명, 중국 인구를 14억2600만명으로 추산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이 발표한 인구가 예상보다 더 적어 인도의 인구가 이미 중국을 추월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과 달리 인도의 인구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은 인구조사 기관 세계인구리뷰(WPR)를 인용해 인도의 인구가 14억2300만명에 달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인도의 인구 증가 자체는 큰 부작용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BBC는 인도의 인구 증가율이 수십년째 감소 중이고 심각한 인구재앙 예측도 피해갔다며 소득 증가와 의료·교육 접근성이 향상되면서도 출산율이 감소해 인구 증가 곡선이 눈에 띄게 완만해졌다고 설명했다.

인도 뉴델리 인디아게이트 앞에 시민들이 모여있다. AFP연합뉴스

◆인구 늘어난 인도, 체급도 키울까

 

세계 최다 인구는 인도의 외교적·경제적 체급도 키울 수 있다. BBC는 인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강화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유엔 창립 회원국인 인도는 늘 상임이사국이 될 정당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유엔 경제사회국의 존 윌모스 인구국장은 “(최다 인구 국가는) 사안에 참여할 일정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인도는 또 최근 미국, 중국, 러시아 등 강대국이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외교 무대 입지 강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제3세계의 맹주를 자처한 인도는 최근 개최한 ‘글로벌 사우스 정상회의’에서 120여개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새로운 세계질서 구축을 강조했다. 오는 9월에는 주요 20개국(G20) 회의도 개최한다.

 

◆새 ‘세계의 공장’ 넘어 ‘세계의 시장’도 넘봐

 

세계 제조업체의 탈중국 현상은 인도에는 기회로 작용할 전망이다. 각국 제조업자들은 중국 경제 수준 향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 정부의 코로나19 고강도 방역 대책에 따른 생산 차질 등으로 대중국 의존도를 줄이려고 노력 중이다. 중국이 ‘세계의 공장’ 역할을 끝내면 상당 지분을 인도로 옮겨올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인도 국기. 게티이미지뱅크

소비 측면에서도 인도의 부상이 부각된다. 인도 인구의 47%가 25세 이하로 세계에서 생산가능 인구가 가장 풍부하다는 점은 경제 성장을 위한 중요한 자산이다. 생산가능 인구 비율과 출생률이 높은 만큼 부양률이 감소하고 경제성장이 촉진되는 ‘인구배당효과’를 향후 수십년 간은 누릴 수 있다. BBC에 따르면 경제학자 슈루티 라자고팔란은 “인도의 젊은 세대는 지식과 네트워크 상품 경제에서 가장 큰 소비자이자 노동력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는 현재 세계 두 번째 쌀, 밀, 설탕 생산국이자 금, 철강 소비국이다. 인도 국영 스테이트뱅크오브인디아(SBI)는 인도의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2029년에는 미국, 중국에 이은 세계 3위가 될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인도의 앞날이 마냥 밝은 것만은 아니다. 우선 인구배당효과를 제대로 거두기 위해서는 생산가능 인구를 위한 일자리가 충분해야 한다. 하지만 인도 싱크탱크 인도경제모니터링센터(CMIE)에 따르면 인도 생산가능 인구의 40%만이 재직·구직 중이다. 생산가능 인구가 아무리 많아도 정작 일자리가 받쳐주지 않으면 재앙으로 다가올 수도 있는 것이다. BBC는 인도 케랄라 개발연구센터의 이루다야 라잔 이주전문가를 인용해 “인도 도심 지역은 시골 지역의 일자리 부족과 저임금을 피해 온 이주민이 증가하면서 성장하겠지만, 이주민에게 합리적인 생활 수준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빈민가와 질병이 증가할 뿐”이라고 설명했다.

19일(현지시간) 인도령 카슈미르의 스리나가르에서 사람들이 추운 저녁에 저녁 간식을 사고 있다. AP연합뉴스

제조업 기반이 튼튼하지 못한 것도 약점으로 꼽힌다. 대규모 제조 공장 등 안정적인 직장이 많지 않아 젊은 층 상당수가 비정규직이나 일용직에 종사하고 있다. 게다가 이런 일자리마저 증가 속도가 생산가능 인구 증가 속도를 맞춰주지 못하면 사회 문제로 대두할 수도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출산·육아 시간이 감소하면서 일자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하지만 CMIE에 따르면 인도는 지난해 10월 기준 여성 경제활동 가능 연령의 10%만 일자리를 가지고 있었다. 중국의 69%와 대조적이다.

 

◆장기적으로는 고령화도 숙제

 

현재 인도에서는 거의 주목받고 있지 못하지만 고령화도 장기적인 문제로 떠오를 수 있다. 인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던 1947년 인도의 중위연령은 21세였고, 60세 이상은 5% 가량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금은 중위연령이 28세를 넘어섰고, 10% 이상이 60세 이상이다. ‘정수(Whole Numbers)와 절반의 진실’을 집필한 데이터 저널리스트 루크미니는 “인도에서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고령층을 지원하는 것은 정부에 점점 부담이 될 것”이라며 “가족 구조는 재편될 것이고, 혼자 사는 노인들은 점점 더 우려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우중 기자 lo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엔믹스 설윤 '청순 매력'
  • 엔믹스 설윤 '청순 매력'
  • 아일릿 원희 '상큼 발랄'
  • 미연 '순백의 여신'
  • 박보영 '화사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