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소득 대비 재산세 부담, 저소득층이 부자보다 컸다

입력 : 2022-12-13 12:22:17 수정 : 2022-12-13 12:22:1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하위 10% 재산세 부담비율 6.15배, 상위 10%는 0.29배 그쳐…분배효과 '마이너스'
부동산 가격 급등에 자산 격차는 더 벌어져…다주택 가구 자산, 무주택 가구의 19배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소득대비 재산세 부담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이 납부하는 재산세액 자체는 적지만, 소득 대비 세액 비중이 높은 탓에 부담이 가중됐다는 분석이다.

지난 11일 서울 시내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아파트 월세 매물 정보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최근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계층 간 자산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 재산세 소득재분배 효과 '마이너스'…저소득층이 상대적 부담 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으로 집계한 소득 하위 10%(1분위)의 재산세 부담 비율은 6.15배였다.

같은 시기 소득 최상위 10%(10분위)의 재산세 부담 비율은 0.29배에 그쳤다. 수치상 하위 10%의 재산세 부담이 상위 10%의 20배를 웃돈 것이다.

재산세 부담 비율은 소득 분위별 소득 비중과 재산세 비중으로 산출한 세 부담 측정 지표다.

가령 1분위의 경우 2020년 연간 소득이 전체 가구 소득의 1.3%에 그쳤지만, 1분위가 부담한 재산세액은 전체 재산세 총액의 8.0%에 달했다.

자료=통계청 제공

같은 기간 10분위는 전체 가구 소득의 29.2%에 달하는 소득을 올리면서 8.6%의 재산세를 부담했다.

이에 따라 재산세의 소득재분배 효과는 '마이너스'에 그쳤다.

2013∼2020년 재산세 부과 전후 지니계수 감소율로 측정한 소득재분배 효과는 -0.38∼-0.64%로 집계됐다.

재산세 부과 이후 소득 분배가 오히려 악화했다는 의미다.

연구를 수행한 성명재 홍익대학교 교수는 "소득이 낮은 은퇴자 중 고가 주택 소유자가 많다 보니 저소득·고령층에서 상대적으로 재산세를 더 많이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어 "소득재분배를 위한 정책 수단으로서 재산세의 효과성은 아주 낮았다"고 강조했다.

◇ 다주택 가구 순자산 43.4% 증가…무주택 임차 가구의 19배

2020년 1분위의 가구당 평균 소득은 681만원, 10분위 평균 소득은 1억5천465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상위 10%의 소득은 하위 10%의 22.7배에 달했다.

자료=통계청 제공

가구 총소득은 40대 초반에 7천551만원으로 정점에 도달한 뒤 40대 후반부터 감소했다.

가구 자산은 90% 이상이 부동산 관련 자산이었다.

최근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가구 간 자산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지난해 다주택 가구의 순자산은 2018년 대비 43.4% 증가했고, 순자산 중위값도 5억3천만원에서 7억6천만원으로 2억3천만원 늘었다.

같은 기간 무주택 임차 가구의 자산은 18.0%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순자산 중위값은 3천390만원에서 4천만원으로 610만원 늘었다.

다주택 가구의 순자산 규모는 무주택 임차 가구의 19배로 집계됐다.

다주택 가구와 무주택 가구의 순자산 격차는 2018년 15.6배에서 2021년 19.0배로 더욱 벌어졌다.

사진=연합뉴스

◇ '코로나 학번' 휴학 늘어…인문·사회계열 고용률 6.1%p↓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에는 신입생과 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휴학생이 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휴학생 비율은 2019년 대비 1.7∼2.6%포인트 올라갔다.

대학 생활을 제대로 누리지 못한 '코로나 학번'들이 반수 준비를 하는 경우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취업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졸업(학사 학위 취득)을 유예한 대학생도 43.6% 늘었다.

이 기간 이공계열의 경우 취업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인문·사회계열 고용률은 6.1%포인트 급락했다.

국내 보이스피싱 범죄가 처음으로 발생한 2006년 이후 지난해까지 누적 피해 금액은 3조8천681억원으로 집계됐다.

보이스피싱 1건당 피해 금액은 2019년 1천699만원에서 지난해 2천500만원으로 증가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브 장원영 '빛나는 미모'
  • 아이브 장원영 '빛나는 미모'
  • 트리플에스 지우 '매력적인 눈빛'
  • (여자)이이들 미연 '순백의 여신'
  • 전소니 '따뜻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