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학교 비정규직 파업에 분노한 학부모들 “아이들 볼모로 국민 공감 얻나“ 일갈

입력 : 2022-11-25 22:00:00 수정 : 2022-11-25 23:40:39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학교비정규직노동자들이 정규직과 임금 차별 해소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25일 서울 성동구의 한 중학교에서 학생들이 샌드위치와 머핀 등 대체 급식으로 점심을 해결하고 있다. 연합뉴스

 

돌봄과 급식 등에 종사하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25일 파업에 돌입하면서 학생들이 빵, 음료수로 점심식사를 대신하는 등 교육 현장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졌다.

 

이날 하루 운영을 멈춘 돌봄교실은 전국적으로 453곳에 달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정규직과의 임금 차별 해소, 급식실 폐암 종합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며 이날 하루 파업에 들어갔다.

 

파업에 참여한 조합원들이 상경해 서울 여의대로 등지서 열린 파업 대회에 참여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조합원들이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공원 인근에서 총파업대회를 열고 정규직과의 임금 차별 해소, 급식실 폐암 종합대책 마련, 교육교부금 축소 반대 등을 촉구하며 모자를 던지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공무직으로 불리는 이들은 교육기관과 학교에 근무하는 근로자 중 공무원이 아닌 이들을 말한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2만1300여명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학교 3160곳에서 급식 차질이 빚어졌다.

 

서울의 경우 144곳(10.19%)에서 정상 급식이 이뤄지지 않았다. 130곳은 빵·우유 등 대체식을 제공했고, 2곳은 도시락을 지참하게 했다.

 

나머지 12곳은 정기고사나 학사일정 조정 등을 통해 급식난을 피했다.

 

돌봄교실도 10곳(공립 기준)에서 운영되지 못했다.

 

경기에서는 교육공무직 3만7293명 중 5902명(16%)이 파업에 참여했다.

 

학교 2708곳 중 849곳에서 빵·우유·과일 같은 간편식이 제공됐고, 19곳은 급식을 중단했다. 돌봄교실 64곳도 문을 닫았다.

 

이 지역 한 초등학교의 경우 영양교사를 제외한 학교급식 종사자 5명 중 4명이 파업에 참여하고 1명이 병가를 내면서 급식은 인스턴트 간편식으로 대체됐다.

 

점심시간이 돼 병설 유치원 원아를 시작으로 학생들이 급식실에 들어서자 교직원들은 비닐봉지에 주먹밥, 머핀, 팩 주스, 귤을 넣어 나눠줬다.

 

파업률이 한 자릿수인 대구(6.3%)에서는 48곳이, 경북(6.78%)에서도 154곳이 빵과 음료, 도시락 등으로 급식을 대체했다.

 

경남지역 학교 857곳 중에도 235곳(27.4%)이 급식을 중단했고, 울산도 74곳(27%)에서 급식 차질이 빚어졌다.

 

광주에서는 전체 학교(254곳)의 절반에 가까운 128곳이, 전남은 877곳 중 131곳(14.9%)이 대체급식을 제공하거나 재량휴업했다.

 

이날 하루 운영을 멈춘 돌봄교실은 전국적으로 453곳에 달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들의 파업을 바라보는 학부모들 반응은 싸늘하다.

 

학부모 A(48·경기 고양시)씨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아무리 정당한 목소리라도 아이들을 볼모로 하면서 국민적 공감을 얻겠냐“며 ”더는 아이들에게 피해가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요셉 충북학부모연합회장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처우 개선 요구는 이해하지만 기본적인 의무조차 저버리면서 교육 당국을 압박하는 것은 도저히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비판했다.

 

※ 제보를 기다립니다. [메일] blondie@segye.com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