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ADHD 성인 환자, 이 질환에 걸릴 위험 높아진다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09-19 11:36:24 수정 : 2022-09-19 11:36:2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스웨덴 연구팀, ADHD-심뇌혈관 질환 사이 연관성 분석
심정지‧뇌출혈‧말초혈관 질환 위험↑…남성이 여성보다 커
성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환자. 게티이미지뱅크

 

주의력에 떨어지고 산만하며 행동이 지나치게 활발하고 충동 조절과 행동 절제가 안 되는 일종의 정신 장애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이 질환은 소아나 청소년들에게 흔히 발생하지만 요즘엔 성인 환자들도 적잖다.

 

그런데 ADHD 성인 환자는 심뇌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심정지‧뇌출혈‧말초혈관 질환 위험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심뇌혈관 질환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미국 과학진흥 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의 보도에 따르면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역학·생물통계학과 연구팀(제1 저자: 리린)은 ADHD와 20여 가지 유형의 심뇌혈관 질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ADHD 환자 3만7000명을 포함해 전국 성인 500여만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평균 11.8년의 추적 관찰 기간에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ADHD 그룹은 38%로 ADHD가 없는 대조군의 24%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ADHD 그룹은 모든 유형의 심뇌혈관 질환 발생률이 높았지만, 그중에서도 심정지‧뇌출혈‧말초혈관 질환 위험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여성보다 남성이 더 두드러졌다.

 

식이장애, 약물 남용 장애 등 일부 정신과 동반질환을 가진 ADHD 환자는 심뇌혈관 질환 위험이 훨씬 더 컸다.

 

각성제 등 ADHD 치료제나 항우울제, 항불안제 같은 다른 정신질환 약물 복용은 ADHD와 심뇌혈관 질환 사이의 이러한 연관성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관찰연구 결과이기 때문에 성인 ADHD와 심뇌혈관 질환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증거는 될 수 없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다만 ADHD 성인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은 환자의 생활 습관 요인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심뇌혈관 질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연구팀은 권고했다.

 

무엇보다 성인 ADHD와 심뇌혈관 질환 사이에 어떤 공통된 유전적 요소는 없는지 등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찾는 연구도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 정신의학 협회(World Psychiatric Association) 학술지 ‘세계 정신의학’(World Psychiatry)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안은진 '완벽한 미모'
  • 안은진 '완벽한 미모'
  • 이영애 '카리스마 눈빛'
  • 권은비 '반가운 손 인사'
  • 이다희 '이기적인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