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탄소배출이 전혀 없는 수소환원제철의 시험설비 설계에 착수하며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의 첫 발을 뗐다.
포스코는 지난달 26일 포항 기술연구원에서 영국의 플랜트 건설사 프라이메탈스와 수소환원제철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포스코는 프라이메탈스와 함께 이달부터 포스코의 친환경 수소환원제철 모델 ‘하이렉스(HyREX)’ 시험설비 설계에 착수하기로 했다. 포스코는 하이렉스의 설계·조달·시공(EPC) 작업을 계속해 중장기적으로 2030년까지 수소환원제철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이후 제철소 고로(용광로)를 단계적으로 하이렉스 기반 설비로 교체해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석탄 등 화석연료를 태워 쇳물을 만드는 기존 방식과 달리, 수소환원제철은 100%를 수소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철강 공정의 원료가 되는 직접환원철을 만든 뒤 전기로에 녹여 쇳물을 생산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탄소배출이 없다.
포스코는 2007년 세계 최초로 수소가 25% 포함된 환원가스를 사용하는 ‘파이넥스’ 기술 상용화에 성공했다. 현재는 파이넥스를 기반으로 한 수소환원제철 모델 하이렉스를 개발 중이다.
포스코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수소환원제철 국제포럼(HyIS Forum 2022)을 개최한다. 포스코와 스웨덴 철강기업 SSAB가 공동 주관하며, 오는 10월 12, 13일 이틀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