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보안경험·규모 있는 회사가 맡아. 해당 업체는 관급공사 3건” 의혹 제기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은 한 신생업체가 수의계약을 통해 서울 용산 소재 대통령실 청사 리모델링 공사를 수주한 데 대해 “허접스러워 보이는데, 저 정도 수준의 업체가 국가의 품위와 최고 보안등급이 걸려 있는 용산 집무실 공사를 맡았다는 것을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20일 오전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과거 정부는) 기존에 해오던 업체에 맡겼고 불가피하게 하더라도 보안의 경험이나 어느 정도 규모가 되는 곳에 맡겼는데, 듣도 보도 못한 업체가 갑자기 청와대 집무실 내부를 맡는다는 게 이게 말이 되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대통령실은 앞서 지난 7일 경기 포천에 주소지를 둔 한 업체와 ‘청사 내 사무 공간 환경 개선’ 수의계약을 6억8208만원에 맺은 바 있다.
김 의원은 “(해당 업체의)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관급공사 실적은 중학교, 농업기술센터, 세계지질공원센터 3건”이라며 “중학교는 교무실을 스터디 카페로 만들어준 거고, 농업기술센터는 (일부 바닥에) 나무 데크를 깔고, 한탄강 세계지질공원센터 안에 있는 어린이들 시설에 다치지 않도록 푹신푹신한 매트를 깐 것으로 3건을 합쳐도 8000만원이고, 모두 (포천 사무실) 40㎞ 반경 안에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공능력 평가액은 한 3억원 정도 나온다”며 “이 건(집무실 공사)은 7억원 정도로, 수의계약을 해서 우회적으로 피해 간 것”이라며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아울러 “그냥 동네 구멍가게 인테리어 업체 이런 정도”라며 “‘우리 청와대(용산 대통령실 청사 수주) 됐어’ 이렇게 선전을 해도 모자랄 판인데, (사장과 직원들이) 아예 잠적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1980년대 말 청와대 본관을 지을 때 (미국 정부의) 도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현대건설 정도 되는 곳에서 공사했다”며 “문재인 정부 들어서도 큰 건은 주로 (청와대 내부의 보안시설 등을 아는) 현대건설이 맡았다”고 설명했다.
‘공사가 급하게 진행되는 과정에서 맺어진 계약’이라는 대통령실의 해명에 대해서는 “급해서 그럴 수도 있지만, 용산과 서울 시내에 고도의 인테리어 감각을 가지고 있는 업체가 얼마나 많냐”며 “멀리 포천에까지 갔다. 희한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또 대통령실에서 이 같은 공사계약 내용이 올라온 조달청 ‘나라장터’를 비공개 조치한 데 대해 “주인인 국민에게 보고할 의무를 저버리는 것일 뿐만 아니라 ‘뭔가 켕기는 게 있는 것 아닌가? 감춰야 할 내용이 있는 게 아닌가?’하는 의구심을 계속 증폭시키는 일을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대통령실은 지난 16일 경호처가 수의계약으로 약 16억원 규모의 시설 공사를 맡긴 업체가 ‘조세 포탈’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으며, 시공능력에도 의문이 제기된다는 지적에 대해 “큰 문제가 없다”고 밝혔었다.
대통령실은 “조달청에 등록된 해당 업체는 시설 공사를 맡을 자격이 있었기에 선정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번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공사는 보안성과 시급성을 요하기에 문재인 정부 경호처의 추천을 받아 해당 업체와 계약을 맺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경호시설 공사계약 당시 해당 업체는 국세 및 지방세 완납 증명서를 제출해 계약 조건에 하자가 없었다”며 “업체 대표의 조세 포탈 혐의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 업체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대구 사저 경호시설 공사도 맡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