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한 한국인 4명이 숨졌다는 러시아 국방부 발표에 대해 러시아 측에 관련 자료를 요청하는 등 사실 확인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 측 발표가 기존에 한국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무단 입국자 규모와 일치하지 않고, 국제사회에서도 이번 발표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소식통은 19일 "(러시아 측에) 사실관계를 구체적으로 알려 달라는 공한을 보낸 상태"라며 "확인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외교 당국은 러시아 측 발표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를 러시아 측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국방부는 앞서 지난 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측 외국 용병 현황 자료'를 발표해 한국 국적자 13명이 우크라이나로 입국해 이 가운데 4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또 8명은 우크라이나를 떠났으며 1명은 아직 우크라이나에 남아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러시아 발표 직후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며 "현지 공관인 주러 한국대사관에 사실관계 파악을 지시한 상태"라고 밝힌 바 있다.
러시아는 한국 정부의 사실관계 확인 요청에 아직 회신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가 이번 발표를 뒷받침할 만한 구체적 자료를 즉각 제공할지도 미지수다.
러시아 측은 지난 4월에도 한국인 전투 참가자 가운데 2명이 사망했다는 첩보를 한국에 제공했지만, 한국 정부의 사실관계 확인 요청에 대해 아직 사망자 신원 등 추가 정보를 회신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내에서는 이번 발표에 높은 신빙성을 부여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나온다.
자체적으로 파악한 우크라이나 무단 입국자 규모와 러시아 측 발표가 다르다는 점에서다.
정부는 우크라이나에 무단 입국해 잔류 중인 인원을 4∼5명가량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러시아가 공개한 수치와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정부 소식통은 "우크라이나에 잔류 중으로 파악되는 이들의 신원은 직간접적으로 거의 확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들에서도 이번 발표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가 이번에 우크라이나군 가담자·사망자·출국자 수치를 공개한 국가는 총 64개국에 이른다.
국제사회 내에서는 이번 발표가 혼란을 야기하려는 목적 등을 지닌 국제심리전일 수 있다는 견해가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