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수지 흑자 25억달러나 감소
배당 몰린 4월 적자전환 가능성

3월 경상수지가 67억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23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다만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흑자 폭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들었다. 외국인 주주들이 국내 기업의 배당금을 받아가는 4월에는 일시적으로 경상수지가 적자 전환될 것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도 나온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22년 3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3월 경상수지는 67억3000만달러(약 8조60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2020년 5월 이후 23개월 연속 흑자지만, 지난해 같은 달(75억달러)보다 7억7000만달러 감소했다.
경상수지는 수출입 실적이 반영된 상품수지와 운송·여행수지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수지, 임금·배당·이자소득 등이 합산된 본원소득수지로 구성된다.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 흑자는 53억10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25억4000만달러 줄었다. 수출(645억1000만달러)이 석유제품·반도체 등의 호조로 16.9% 늘었지만, 수입(592억달러) 증가 폭이 25.1%로 더 컸기 때문이다. 3월 통관 기준 원자재 수입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52.3% 급증했다.
서비스수지는 지난해 3월 11억달러 적자에서 3억6000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특히 수출 화물 운임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운송수지 흑자 규모가 1년 전보다 9억7000만달러 늘어난 15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본원소득수지는 11억5000만달러 흑자를 냈지만, 1년 새 흑자액이 1억4000만달러 줄었다. 외국인 투자기업의 배당 지급이 늘어 배당소득 흑자가 4억7000만달러에서 3억9000만달러로 9000만달러 축소된 데 영향을 받았다.
황상필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경상수지 흑자 축소에 대해 “수출이 견조한 흐름이지만,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 등으로 수입이 늘면서 상품수지가 부진했기 때문”이라며 “원자재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서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다만 수출이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에 흑자 기조는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4월이다. 4월만 놓고 보면 3년 만에 경상수지 흑자(1억8000만달러)를 기록했던 지난해와 달리 다시 적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황 국장은 “지난달 통관 기준으로 무역 적자(26억6000만달러)를 본 데다 12월 결산법인의 배당도 4월에 몰려 있어 일시적 경상수지 적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올해 1분기 전체로는 경상수지가 150억6000만달러(약 19조2400억원) 흑자로, 지난해 1분기보다 72억7000만달러 축소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