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의원이 송영길 전 당대표의 서울시장 지방선거 출마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4일 오전 김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선 책임을 지고 대표직을 사퇴한 지 얼마 안 돼 큰 선거의 후보를 자임한 데 대한 대국민 사과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김 의원은 “동일 지역구 연속 4선 출마 금지 약속을 선도하고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촉발했던 86 용퇴론에 대한 대국민 설명과 양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송 전 대표는) ‘누구누구가 경쟁력이 있다면 왜 당에서 나를 거론했겠느냐‘며 당내 유력 인사를 폄한 것에 대해서도 사과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 발언은 송 전 대표가 지난달 31일 국회에서 “이낙연 전 총리나 임종석 전 의원, 박주민 의원, 박영선 전 장관 등 좋은 분들이, 우상호 의원 말처럼 잘해서 경쟁력이 있다면 굳이 내가 거론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말한 것을 꼬집은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김 의원은 여론조사를 통해 서울시장 후보군을 압축해 시민과 당원의 지지가 가장 높은 사람을 후보로 지명하는 ‘교황식 시민후보 선정 방식’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서울 지역구 출신 대선후보였던 이낙연·정세균·추미애·박용진, 직전 후보였던 박영선, 서울 부시장을 지낸 임종석, 서울 출신 전직 최고위원인 박주민·강병원, 최근 주소지를 옮긴 송영길, 대선 책임을 자임하고 불출마를 표명했던 우상호 등 당내 인사들과 김현종 등 서울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파격적이고 참신한 당외 인사 등 모든 인적자원을 놓고 지도부가 책임 있는 전략적 검토와 실행을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회견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송 전 대표에 온 당력을 내걸고 ‘원 카드’로 가야 할 상황은 아니다”라면서 “얼마든지 시대 흐름에 맞는 뉴 페이스가 나올 수 있다. 후보가 하나밖에 없는 것 같은 인식이 있는데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 의원 개인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라면서도 “(서울 지역 의원들 사이에서) 상황에 대한 진단, 공감대는 큰 상황”이라고 전했다.
앞서 송 전 대표는 지난 1일 페이스북을 통해 “주소지를 서울 송파구로 옮겼다”며 지방선거 서울시장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이를 두고 당 내부 일각에서는 대선패배 책임이 있는 송 전 대표가 자숙없이 다소 일찍 선거에 출마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