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조리원 확대·조리로봇 도입

최근 ‘부실 급식 논란’과 관련해 비판 여론에 노출됐던 군 당국이 육군과 해병대에 조리병 1000여 명을 추가 투입한다. 17일 국방부에 따르면 코로나19 예방 차원에서 격리된 장병 급식 지원 등으로 업무가 늘어난 조리병의 부담을 낮추고자 이번 방침이 결정됐다. 군은 올해 하반기부터 행정지원인력을 감축해 조리병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올 하반기 민간조리원을 조속히 채용해 운영하고, 내년엔 민간조리원 편성기준을 현재 80명 이상 취사장당 1명에서 2명으로 확대한다. 조리 취약시간대인 평일 조식에 민간조리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조리병 부담 경감 차원에서 올해 말까지 모든 취사장에 오븐을 설치하고 야채절단기와 고압세척청소기 등을 확대 보급하는 등 현대화된 조리기구 도입을 지속 추진하기로 했다. 조리업무 중 위험도가 높고 체력 소모가 많은 튀김 요리 등을 위해 민간에서 활용하는 조리용 로봇을 시범 도입·운영하는 방안도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추진한다.
시범 부대를 선정해 조식에 장병들이 좋아하는 간편 뷔페형 식단을 제공한다. 주말과 휴일에는 완제품 형태의 간편식(찌개류·즉석밥·반찬류 등)을 공급하기로 했다.
급식시스템 개편도 추진된다. 전방부대는 현재의 군단급 단위에서 사단급 단위로 급식관리시스템을 개편하고, 학교급식 전자조달시스템(eaT)을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학교급식 전자조달시스템은 학교가 식재료 공급업체를 선정·계약하기 위한 전자조달시스템이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