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미국과 중국이 18일(현지시간)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고위급 회담을 시작했으나 양측 대표단이 모두 발언에서부터 가시 돋친 설전을 주고받아 이번 회담에서 생산적인 결과가 나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미·중 양국이 앞으로 타협보다는 대결의 코스로 치달을 가능성이 커졌다. G2로 불리는 미국과 중국이 정면으로 충돌하면 신 냉전 시대가 올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미·중 충돌은 북한 핵 문제와 한반도 정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미국 측 대표인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국가안보보좌관, 중국 측 대표인 양제츠 공산당 외교 담당 정치국원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이날 오후 첫 ‘2+2’ 회담을 시작했다. 양측은 이날 2차례, 19일 오전 1차례 등 모두 3번 회담할 것이라고 미국 언론이 전했다.
양측 대표단은 이날 각각 2분씩 4분 동안 언론에 공개되는 모두 발언을 하기로 했다고 미국 측 관계자가 말했다. 먼저 블링컨 장관과 설리번 보좌관이 차례로 마이크를 잡았다. 블링컨 장관은 중국 당국이 신장 위구르족 인권 탄압, 홍콩과 대만에 대한 위협, 미국에 대한 사이버 해킹 공격, 미국의 동맹국에 대한 경제적 위협을 계속하고 있다고 선공을 가했다. 블링컨 장관은 중국의 행동이 규칙에 기초한 세계 질서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블링컨 장관은 “바로 이런 이유로 이것은 중국 국내 문제가 될 수 없으며 우리가 오늘 이런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설리번 보좌관도 “중국이 기본 가치에 대해 공격을 하고 있다”면서 “우리가 갈등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나, 치열한 경쟁을 환영한다”고 가세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우리는 국민과 친구들을 위해 원칙을 옹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측 발언이 끝나자 양제츠 정치국원이 발언에 나섰다. 그는 중국의 내정에 간섭하지 말라며 거칠게 반박을 시작했다. 양 정치국원은 통역 시간을 포함해 무려 17분에 걸쳐 미국을 신랄하게 공격했고, 왕이 부장도 이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고 미국 언론이 전했다. 양 정치국원은 “미국에는 미국식 민주주의가 있고, 중국에는 중국식 민주주의가 있는 것”이라며 미국이 중국의 내정에 간섭하려 드는 것을 결코 용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가 보기에 미국이 다른 나라에 민주주의 진전을 요구하기보다 자국의 이미지를 쇄신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며 “많은 미국인이 실제로 미국의 민주주의를 거의 신뢰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은 미국 측의 근거 없는 비난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왕이 부장도 미국의 최근 홍콩 관련 제재를 겨냥해 “새로운 제재를 발표하는 것은 손님을 환영하는 방법이 아니다”고 질타했다.
중국 측 발언이 길어지자 블링컨 장관은 현장에 있던 취재진에 신호를 보내 대기하도록 한 뒤 반격을 재개했다. 블링컨 장관은 “나는 미국이 돌아왔다는 데 대해 깊이 만족한다는 말을 듣고 있고, 중국 정부의 행동에 대한 깊은 우려의 소리를 듣고 있다”고 공박했다. 미국 대표단이 2차 발언을 하고, 취재진을 내보려 하자 양 정치국원이 영어로 ‘기다려’라고 말한 뒤 다시 미국 측을 공격했다. 미·중 양국의 치열한 신경전으로 인해 당초 4분 예정의 공개 세션이 1시간 이상 계속됐다. 미국 대표단 관계자는 회의장 밖에서 중국 측이 회의 진행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며 거칠게 항의하기도 했다고 미국 언론이 전했다. 미·중 양측은 비공개회의에서는 무역 등 핵심 쟁점을 놓고 더 치열하게 대립할 것이라고 AP 통신이 전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