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번지면서 한국은 물론이고 세계 각국에서 경기 부양책을 쏟아내고 있다.
연합뉴스는 1일 홍콩,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코로나19로 인해 침체한 경기를 되살리기 위해 현재까지 각국이 내놓은 대책 규모를 합치면 이미 53조원이 넘는다고 전했다.
홍콩의 경우 2020, 2021년 예산안에서 코로나19에 대응해 1200억 홍콩달러(약 18조6000억원)를 편성했다. 특히 18세 이상 영주권자에게 1만 홍콩달러(약 155만원)를 지급하기로 했다. 현금 지급 대상자는 홍콩 전체인구의 90%가 넘는 약 700만명으로, 소요 예산 규모는 710억 홍콩달러(약 11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대만은 600억 대만달러(약 2조4000억원) 규모의 경기 부양 패키지가 이미 국회를 통과했다. 패키지에는 직격탄을 맞은 여행업체에 대한 보조금과 버스 기사에 대한 세금 감면, 유명 관광지인 야시장에서 음식을 살 수 있는 바우처 제공 등이 포함됐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가운데서는 말레이시아가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관광업 등 업계를 지원하기 위한 ‘2020 경기 부양 패키지’를 발표하고 200억 링깃(약 5조7000억원)을 쏟아붓겠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는 10조3000억 루피아(약 9000억원) 규모의 부양책을 발표했다. 부양책은 관광업 지원을 위해 10대 관광지로 향하는 항공료의 30%를 할인해 준다.

싱가포르는 836억 싱가포르 달러(72조6000억원) 규모의 예산안을 발표하며 이 가운데 56억 싱가포르 달러(약 4조8600억원)를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영향 최소화를 위해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한국 정부가 기존에 내놨던 4조원 규모의 대책과 지난달 28일 발표한 16조원 규모의 ‘코로나 19 파급영향 최소화와 조기 극복을 위한 민생·경제 종합대책’까지 합치면 지금까지 아시아 지역에서만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약 53조원 규모의 예산이 잡혀 있는 셈이다.
코로나19 발원지이자 확진자가 가장 많이 확인된 중국이 부양책을 내놓을 가능성도 남아있다. 중국은 아직은 대형 경기 부양책을 내놓기보다는 금리 조정을 통한 유동성 공급에 집중하고 있다.
인민은행은 2월 초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입찰금리를 3.25%에서 3.15%로 내렸고, 이에 따라 최근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도 4.15%에서 4.05%로 낮아졌다.
세종=박영준 기자 yj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