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씨가 진단 받은 ‘하지동맥 폐색증’은 50대부터 환자 수가 급격히 늘어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년 자료에 따르면 남성 하지동맥 폐색증 환자는 연령별로 30대 3%, 40대 6%, 50대 17%, 60대 26%, 70대 33%이다. 전체 환자 중 남성 환자(1366명)가 여성(656명)보다 2배 더 많았다.
하지동맥 폐색증은 동맥경화로 인해 다리 혈관이 막혀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통증이 유발된다. 대부분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그리고 오랫동안 흡연을 한 사람들에게서 나타난다.
질병 초기에는 걷거나 달릴 때 다리에 통증이나 경련이 발생하지만 쉬면 증상이 금방 가라앉는다. 진행된 상태에서는 피부가 차갑고 발가락 색깔이 검게 나타나며 발에서 맥박이 약하게 잡힌다. 초기에 발견하면 항혈소판제나 혈관확장제 등 약물치료로 나을 수 있지만 증상이 심해 병원을 찾을 정도면 동맥 폐색이 50% 이상 진행된 경우가 많다. 괴사가 온 상태에서 치료받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1년 안에 환자가 다리를 절단할 확률이 50%에 이른다.
강동경희대병원 조진현 혈관외과 교수는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앓는 30~40대가 늘면서 자연히 50대부터 하지동맥 폐색 환자 빈도가 높아진다”며 “당뇨, 고혈압 등을 앓거나 오랫동안 흡연을 해 온 50대라면 가벼운 다리 통증도 가볍게 보지 말고 즉시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