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친박 이번엔 ‘공천 개입’ 의혹… 진상 규명해 책임 물어야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6-07-19 20:48:44 수정 : 2016-07-19 20:48:4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최경환·윤상현·현기환
‘대통령 뜻’ 팔며 겁박
대통령 직접 해명 필요
새누리당 친박계 핵심인 최경환·윤상현 의원이 “대통령의 뜻”이라고 하면서 4·13 총선 공천에 개입한 정황이 담긴 녹취록이 공개됐다. 계파 이익을 위해 막장 공천을 일삼았던 친박 패권주의의 민낯이 다시 드러난 것이다. 녹취록과 여당에 따르면 최·윤 의원은 지난 1월 예비후보인 김성회 전 의원에게 전화를 걸어 출마 지역구 포기를 회유·협박했다. 김 전 의원이 나가려던 곳은 친박계 맏형인 서청원 의원의 지역구(경기 화성갑)였다.

최 의원은 김 전 의원에게 “세상을 무리하게 살면 되는 일이 아무것도 없잖아”라며 공천을 보장할 테니 인접 지역구로 옮길 것을 종용했다. “그것이 VIP(대통령) 뜻이 맞는 것이냐”고 묻는 상대방에게 “그럼, 그럼”, “우리가 도와드릴게”라고 했다. 윤 의원도 김 전 의원에게 “빠져야 된다”, “까불면 안 된다니까. 대통령 뜻을 얘기해준 거 아니냐”고 했다. “경선하라고 해도 우리가 다 만들지. 친박 브랜드로. ‘친박이다. 대통령 사람이다’”라고도 했다. 특히 “내가 별의별 것 다 가지고 있다니까, 형에 대해서”라며 ‘약점’ 이용의 뉘앙스도 풍겼다. 당시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도 김 전 의원과의 통화에서 “(지역구를 옮기라는 게) 누구 뜻이냐”는 질문에 “대통령의 뜻”이라며 지역구 변경을 압박했다고 한다. 김 전 의원은 화성병으로 옮겨 경선했으나 떨어졌다.

공직선거법 제237조와 57조5는 당내 경선과 관련해 선거의 자유방해죄와 매수금지를 규정하고 있다. 이를 어기면 사법 처리를 받는다. 이번 파문은 여권 전체의 도덕성이 걸린 데다 불법 여지가 있는 만큼 ‘대통령 뜻’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이 이뤄져야 한다. 최 의원 등은 “강제성 없는 권유”라고 해명하고 정진석 원내대표는 “청와대에 확인했는데, 펄쩍 뛰더라”고 전했으나 그렇게 넘어갈 일이 아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나서 해명해야 한다. 최·윤 의원 등이 대통령을 팔아 호가호위한 것이라면 엄중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당 차원의 진상 조사는 말할 것도 없고 필요하면 사법당국이 나서 불법성을 가려야 한다.

서 의원은 어제 “당내 갈등의 중심에 안 서겠다”며 8·9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했다. 논란의 당사자로서 당연한 선택이다. 친박은 계파 해체, 2선 후퇴 등을 통해 자숙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녹취록 공개 시점을 들어 ‘음모론’을 제기하며 반발하는 건 적반하장이다. 공천 과정에서 김무성 전 대표에게 욕설을 퍼부었다가 탈당했다 복당한 윤 의원은 정치인 자질이 의심스럽다. 정치 발전과 당을 위해 거취를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윤아 '청순 미모'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