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갓 활동을 시작한 여성 연기자들한테 ‘역할 모델로 삼고 싶은 선배 여배우는 누구인가’에 대해 질문하면 열에 아홉은 심은하나 전도연의 이름 석자를 댄다.
1990년대 후반 스크린의 쌍두마차 여우로 거론됐던 이들이 새내기 연기자들에게, 더 나아가 여성들 사이에 얼마나 선망의 존재로 자리잡았는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런데 두 여우는 현재 극명한 대비를 이루고 있다. 웨딩마치를 울린 기혼녀라는 사실은 같지만 심은하는 은퇴했고, 전도연은 칸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의 트로피까지 손에 들며 절정의 빛을 발하고 있다.
배우로서 만개한 순간, 은막의 뒤로 사라진 심은하의 선택을 부러워하는 쪽도 있을 것이고, 결혼과 관계없이 현역 배우로 달리는 전도연의 인생을 동경하는 쪽도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예전에는 심은하 쪽에 저울의 추가 기울었다면 이제는 좀 상황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결혼하면 ‘만인의 연인’이라는 타이틀을 내준 채 기혼녀에 대한 세간의 고정관념 등에 갇혀 위축된 연기 인생을 펼치게 마련이다라는 공식이 와르르 무너졌기 때문이다.
‘결혼한 뒤 이력에 흠집을 내느니 차라리 멋지게 사라지겠다’는 소리가 맥을 못 출 만큼 결혼을 계기로 더욱 눈부신 연기 열정을 뿜어내는 미시군단이 스크린과 안방극장을 점령하고 있다. 결혼은 여성 연기자에게 인기의 무덤이 아니라 오히려 날개가 되고 있는 것이다.
칸영화제를 호령하며 뜨거운 박수를 받은 영화 ‘밀양’의 전도연 뿐 아니라 SBS ‘내 남자의 여자’의 김희애, SBS ‘불량커플’의 신은경 등 안방극장의 화제를 주도하고 있는 주인공들도 ‘결혼 반지’를 손에 낀 기혼녀 스타들이다. 2007 상반기 히트드라마 목록에 들어있는 SBS ‘외과의사 봉달희’의 타이틀롤을 맡은 이요원 역시 연예계 최연소 신부라는 말을 들으며 2003년 23세의 나이에 웨딩마치를 울린 아이 엄마. SBS ‘마녀유희’의 한가인도 엄밀하게 말해 사적으론 ‘아줌마’다.
남성 스타들이 ‘결혼은 33세 이후에나 할래요’라며 알 수 없는 기준의 만혼(晩婚) 희망을 입버릇처럼 내뱉고 있는 가운데 반대로 여성 스타들은 20대를 넘기지 않겠다는 듯 결혼 소식을 거침없이 알려오고 있다. 장신영, 왕빛나, 사강, 한채영 등이 최근 웨딩드레스를 걸친 20대 스타들로 대부분은 결혼과 연기 활동은 상관없음을 외치며 물 흐르듯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욱이 단순히 ‘워킹맘’이나 ‘맞벌이’의 차원에서 활동을 지속하는 게 아니라 대범한 연기에도 몸을 던지며 ‘미시의 파격’을 보여주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점도 달라진 경향이다. ‘내 남자의 여자’와 ‘불량커플’에서 육탄공세를 마다하지 않는 농도 짙은 러브신까지 척척 소화한 김희애와 신은경은 관록이 안주가 아니라 도전이라는 낱말과도 친분이 두터움을 증명했다. SBS 새 주말극 ‘황금신부’에 출연하는 홍은희 역시 푼수끼 가득한 노처녀 역으로 이미지 파괴를 시도하며 ‘제 2의 연기인생’을 준비중이다.
파격을 꿈꾸는 미시연기자들의 행보는 ‘천의 얼굴’을 가진 배우라는 공적인 자아에 대한 자각과 욕망이 강해진 데서 비롯한다. 이들은 대부분 “껍질을 깨고 싶었다”는 이구동성으로 ‘배우본색’을 주저없이 드러내고 있다. ‘현모양처라는 사적인 입장 때문에 배역을 선택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지 않을까’라거나 ‘혹시 가족의 동의는 구했는가’와 같은 지레 걱정의 얄궂은 질문에도 “일과 가정은 별개다”, “시청자들이 연기와 프라이버시를 혼동할 만큼 분별력이 없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등으로 당당하게 응수하고 있다.
실제로 기혼녀 스타들이 풋풋한 처녀 역을 맡는다고, 혹은 속옷 바람으로 이글이글 욕망을 분출하는 ‘팜므파탈’을 연기한다고, 색안경을 끼고 보는 시청자들은 드물어 보인다. 고인 물을 거부한 ‘기혼녀스타’들의 도전에 박수를 보내고, 이를 지리멸렬한 일상의 자극제로 받아들이는 목소리가 높기 때문이다.
여배우와 결혼의 달라진 상관관계가 중견배우들의 재발견과 더불어 연예계 전반에 흥미롭고 멋진 화두로 부상했다.
조재원 기자 otaku@sportsworldi.com
미시 연기자 파격, 팬들의 혼 빼놓다
최근 방송가에 파격을 두려워하지 않는 겁없는 미시 열풍이 거세다.
기혼 여배우들이 안방극장에서 기존의 이미지를 과감히 벗어던지고 파격적으로 달라진 모습을 선보이고 있는 것. 김희애, 신은경 등이 대표적이다.
김희애는 SBS 월화드라마 ‘내 남자의 여자’(김수현 극본)를 통해 그동안 보여줬던 순종하는 현모양처의 이미지와는 정반대되는 ‘불륜녀’ 화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화영은 친구의 남편을 유혹해 가정을 파괴시키는 파렴치한 불륜녀로 김희애가 지금까지 맡아왔던 그 어떤 역할보다 파격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희애는 극중 퍼머를 한 헤어스타일에 과감한 노출은 물론, 상대 배우인 김상중과 격정적인 애정 연기도 마다하지 않는다.
‘주몽’ 이후 ‘내 남자의 여자’가 월화드라마의 최강 지존으로 올라선 것 역시 김희애의 이러한 변신과 무관하지 않다.
신은경 역시 최근 방송을 시작한 SBS ‘불량커플’에서 당자 역을 맡아 ‘결혼은 No, 아이는 Yes’를 목표로 움직이는 당찬 커리어 우먼의 모습을 보여준다.
주도적으로 남성을 유혹해 아이를 갖기 위해 노력하는 등 마치 성 역할이 바뀌어버린듯한 드라마 설정 덕분에 신은경은 파격적인 대사와 거침없는 몸짓을 보여줘야 했다.
정자 은행을 찾는 대신, 전통적인 방법으로 아이를 갖기 위한 신은경의 극중 노력은 방송 초반부터 ‘자빠뜨리겠다’라는 대사를 서슴없이 내뱉으며 순진한 남자 기찬(류수영)을 유혹하기 위해 속옷 노출까지 거행(?)하게 만들었다. 이같은 파격연기에 힘입어 ‘불량커플’ 역시 순항 중이다.
이처럼 파격적인 연기 변신과 이미지 쇄신을 선보이고 있는 이들 미시 여배우가 안방극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한 방송관계자는 “기존 트렌디 드라마에 식상한 시청자들에게 과거 순종적인 이미지이거나 대표적인 청춘스타였던 여배우들이 결혼 후 새롭게 변신한 모습이 신선함을 주고 있다”며 “더구나 이들 여배우가 가진 관록과 탄탄한 기본 연기력도 인기요인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준호 기자 tongil77@sportsworldi.com
‘내 남자의 여자’의 김희애 |
최근 방송가에 파격을 두려워하지 않는 겁없는 미시 열풍이 거세다.
기혼 여배우들이 안방극장에서 기존의 이미지를 과감히 벗어던지고 파격적으로 달라진 모습을 선보이고 있는 것. 김희애, 신은경 등이 대표적이다.
김희애는 SBS 월화드라마 ‘내 남자의 여자’(김수현 극본)를 통해 그동안 보여줬던 순종하는 현모양처의 이미지와는 정반대되는 ‘불륜녀’ 화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화영은 친구의 남편을 유혹해 가정을 파괴시키는 파렴치한 불륜녀로 김희애가 지금까지 맡아왔던 그 어떤 역할보다 파격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희애는 극중 퍼머를 한 헤어스타일에 과감한 노출은 물론, 상대 배우인 김상중과 격정적인 애정 연기도 마다하지 않는다.
‘주몽’ 이후 ‘내 남자의 여자’가 월화드라마의 최강 지존으로 올라선 것 역시 김희애의 이러한 변신과 무관하지 않다.
‘불량커플’의 신은경(왼쪽) |
신은경 역시 최근 방송을 시작한 SBS ‘불량커플’에서 당자 역을 맡아 ‘결혼은 No, 아이는 Yes’를 목표로 움직이는 당찬 커리어 우먼의 모습을 보여준다.
주도적으로 남성을 유혹해 아이를 갖기 위해 노력하는 등 마치 성 역할이 바뀌어버린듯한 드라마 설정 덕분에 신은경은 파격적인 대사와 거침없는 몸짓을 보여줘야 했다.
정자 은행을 찾는 대신, 전통적인 방법으로 아이를 갖기 위한 신은경의 극중 노력은 방송 초반부터 ‘자빠뜨리겠다’라는 대사를 서슴없이 내뱉으며 순진한 남자 기찬(류수영)을 유혹하기 위해 속옷 노출까지 거행(?)하게 만들었다. 이같은 파격연기에 힘입어 ‘불량커플’ 역시 순항 중이다.
이처럼 파격적인 연기 변신과 이미지 쇄신을 선보이고 있는 이들 미시 여배우가 안방극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한 방송관계자는 “기존 트렌디 드라마에 식상한 시청자들에게 과거 순종적인 이미지이거나 대표적인 청춘스타였던 여배우들이 결혼 후 새롭게 변신한 모습이 신선함을 주고 있다”며 “더구나 이들 여배우가 가진 관록과 탄탄한 기본 연기력도 인기요인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준호 기자 tongil77@sportsworldi.com
비공개 결혼식 여성스타 트렌드
지난 3일 오후 장충동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비공개 결혼식을 가진 한채영이 본식에 앞서 포토타임을 통해 웨딩드레스 입은 모습만 살짝 공개하고 있다. |
‘사생활은 꽁꽁 숨기고, 연예활동은 활발하게!’
최근 여성스타들의 결혼식을 비공개로 올리고 사생활을 숨기는 반면, 자신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결혼 후 왕성한 활동으로 보답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올해 결혼한 거의 대부분의 여성스타들이 결혼식 취재 제한을 내건 대신, 이들 신부들은 ‘결혼식 끝나고 만나자’는 약속을 지키고 있다.
비공개 결혼식은 지난 3월11일 톱스타 전도연이 철통경호 속에 결혼식 공개를 거부해 화제가 됐다. 최고의 여배우가 결혼식 공개에 나서지 않자 곳곳에서는 잡음도 들려왔지만, 전도연 측은 “인륜지대사인 결혼식을 진중하게 치르고 싶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 앞서 지난 1월 결혼한 이경실, 왕빛나, 사강 등도 모두 비공개 결혼식을 고집한 바있으며, 또 5월의 신부 심혜진과 6월에 결혼한 한채영도 언론 취재를 통제하는 비공개 결혼식을 올렸다.
이같은 비공개 결혼식을 바라보는 대중의 시선도 너그러워졌다. 전도연 측이 비공개 결혼식에 대해 대중의 이해를 구하는 입장을 거듭 표하자, 대중 역시 스타의 사생활을 보장해줘야 한다는 반응을 보이기 시작한 것. 오히려 과열된 취재경쟁을 탓하는 의견도 많았다.
대신 여성스타들은 결혼 후에도 연예활동을 열심히 해서 팬들의 사랑에 보답하고 있다. 이제 ‘결혼 후에도 이 일을 할 것이냐’고 묻는 질문이 촌스럽게 들릴 정도다.
1월27일 2시간 차이로 각각 신라호텔, 임피리얼팰리스 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려 화제를 낳았던 사강, 왕빛나는 현재 나란히 MBC 미니시리즈에서 활약하고 있다. 사강은 월화드라마 ‘신현모양처’에서 비밀을 간직한 34세의 이혼녀 남장미 역할로 열연하고 있으며, 왕빛나는 수목드라마 ‘메리대구공방전’에서 졸부집 딸이자 성형미인인 이소란 역할로 코믹 연기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전도연의 활약도 눈부시다. 그는 영화 ‘밀양’으로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차지한데 이어 대종상영화제 특별상을 수상하는 등 오히려 톱스타 자리를 더욱 굳건히 지키고 있다. 앞으로 전도연이 어떤 시나리오를 선택하게 될지 충무로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이외에 한채영은 ‘지금 사랑하는 사람과 살고 있습니까?’의 개봉을 앞두고 있으며, 심혜진도 주연을 맡은 영화 ‘소녀시대’의 촬영에 합류한다.
이혜린 기자 rinny@sportsworldi.com
'사랑 잡고 인기 잡고' 웨딩마치는 성공 행진곡
스타는 세간의 관심과 축복 속에 화려한 결혼식을 올린다. 요즘 들어 그러한 관심이 부담돼 비공개로 결혼식을 치르는 사례도 늘었지만 대부분 여자 연예인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결혼식을 치른다. 일반인이 아닌 연예인끼리의 결혼, 즉 연예인 커플의 결혼은 더욱 관심의 대상이다.
특히 연예인 커플의 경우 결혼을 잘 활용(?)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여자 연예인에게 결혼이 실이 아닌 득으로 여겨지고 있다.
김지영·남성진, 홍은희·유준상 부부가 그 대표적인 예. 톱스타들간 결혼은 아니었지만 두 연예인 부부는 결혼 이후 꾸준한 활동으로 결혼 전보다 높은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MBC ‘전원일기’에 함께 출연하며 정을 쌓은 뒤 이후 다른 드라마에서 부부로 등장하며 연인으로 발전한 김지영·남성진은 2004년 결혼식을 올리며 세간의 관심을 끌었다. 이후 김지영은 ‘억척 새댁’ 연기를 통해 결혼 전보다 오히려 더 높은 인기를 얻었다.
홍은희의 경우도 비슷하다. 1980년생인 홍은희는 2002년 11살 연상의 선배 유준상 MBC 베스트극장에서 함께 연기하며 연인으로 발전해 이듬해 곧바로 결혼식을 올렸다. 20대 초반에 결혼식을 올리려 하자 주위에서 만류하기도 했지만 홍은희는 이후 유부녀에서 악녀까지 다양한 연기 경험을 쌓으며 인기를 지속하고 있다. 또한 알뜰 주부로 소문나면서 이미지는 더욱 좋아졌다고 할 수 있다.
톱스타 커플들 역시 결혼 후 잉꼬부부 같은 모습으로 더욱 높은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최수종·하희라, 이재룡·유호정, 손지창·오연수 등 톱스타 커플들 역시 인기 기상도에는 전혀 먹구름이 드리우지 않고 있다.
오히려 부부가 함께 CF모델로 등장해 다정한 모습을 보여주는 등 ‘다정한 결혼생활’을 유지해 나가며 일반 사람들의 결혼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홍동희 기자 mystar@sportsworldi.com
김지영(왼쪽), 홍은희 |
스타는 세간의 관심과 축복 속에 화려한 결혼식을 올린다. 요즘 들어 그러한 관심이 부담돼 비공개로 결혼식을 치르는 사례도 늘었지만 대부분 여자 연예인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결혼식을 치른다. 일반인이 아닌 연예인끼리의 결혼, 즉 연예인 커플의 결혼은 더욱 관심의 대상이다.
특히 연예인 커플의 경우 결혼을 잘 활용(?)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여자 연예인에게 결혼이 실이 아닌 득으로 여겨지고 있다.
김지영·남성진, 홍은희·유준상 부부가 그 대표적인 예. 톱스타들간 결혼은 아니었지만 두 연예인 부부는 결혼 이후 꾸준한 활동으로 결혼 전보다 높은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MBC ‘전원일기’에 함께 출연하며 정을 쌓은 뒤 이후 다른 드라마에서 부부로 등장하며 연인으로 발전한 김지영·남성진은 2004년 결혼식을 올리며 세간의 관심을 끌었다. 이후 김지영은 ‘억척 새댁’ 연기를 통해 결혼 전보다 오히려 더 높은 인기를 얻었다.
홍은희의 경우도 비슷하다. 1980년생인 홍은희는 2002년 11살 연상의 선배 유준상 MBC 베스트극장에서 함께 연기하며 연인으로 발전해 이듬해 곧바로 결혼식을 올렸다. 20대 초반에 결혼식을 올리려 하자 주위에서 만류하기도 했지만 홍은희는 이후 유부녀에서 악녀까지 다양한 연기 경험을 쌓으며 인기를 지속하고 있다. 또한 알뜰 주부로 소문나면서 이미지는 더욱 좋아졌다고 할 수 있다.
톱스타 커플들 역시 결혼 후 잉꼬부부 같은 모습으로 더욱 높은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최수종·하희라, 이재룡·유호정, 손지창·오연수 등 톱스타 커플들 역시 인기 기상도에는 전혀 먹구름이 드리우지 않고 있다.
오히려 부부가 함께 CF모델로 등장해 다정한 모습을 보여주는 등 ‘다정한 결혼생활’을 유지해 나가며 일반 사람들의 결혼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홍동희 기자 mystar@sportsworldi.com
<스포츠월드>스포츠월드>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