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국가사업 결정 이후 5년간 예산 1천217억원을 투입하고도 실패한 부산시의 2030년 세계박람회 유치 도전 이면에는 지나친 낙관론, 교섭 추진 체계의 한계, 전략 부재 등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부산시가 28일 공개한 2030년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활동 백서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 119대 29라는 압도적 표 차로 진 데는 여러 가지 실패 요인이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당시 국무총리와 대한상의 회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유치위원회, 유치지원단, 대통령실 소속 미래전략기획관실을 중심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등이 유치 활동에 참여했으나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백서는 평가했다.
회원국 일일 동향 파악과 판세 분석을 하는 외교부·유치지원단 등 일선 기관과 이를 바탕으로 전략을 수립하는 대통령실 간 정보 공유와 협의가 원활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대통령실로부터 유치 성공 기대감이 과도하게 확산했고 대통령실 보고 과정에서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전망을 제시하기 어려운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한다.
일례로 재외공관의 현지 사정에 기초한 현실적인 판세 전망은 묵살, 왜곡되거나 정책 판단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대통령·외교부 장관 특사 66명은 반복적인 파견으로 회원국이 피로감을 호소하기도 했고 비전문성이 문제 되기도 했다. 일부 인사의 경우 최빈국 등 일부 국가에 배려 없는 언행으로 한국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남기는가 하면 실적경쟁으로 자신이 담당하는 국가 입장을 다소 낙관적으로 보고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엑스포 유치에서 가장 핵심적인 경쟁 프레젠테이션은 5회에 걸쳐 진행됐지만 부산의 엑스포 개최를 설득할 만한 메시지가 부족하고 인기 한류 콘텐츠와 유명인만 대거 등장시켰다는 비판을 받았다.
경쟁국 대비 뒤늦게 유치 활동에 시작해 지지세를 되돌리기에도 한계가 있었다. 전쟁 등으로 고금리 고유가 상황에서 세계 최대 산유국이자 주요 채권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교섭력이 더 힘을 발휘하는 환경도 불리했다.
우리 정부는 한류를 활용한 문화 행사로 회원국 대중을 대상으로 집중 홍보를 펼쳤으나 정작 회원국 의사결정권자에게 접근하는 방식에서 한계를 드러냈고 활용할 수 있는 수단도 자금력을 내세운 사우디아라비아보다 적었다고 백서는 지적했다.
백서는 향후 세계박람회나 국제 이벤트를 유치할 때 분산된 유치 조직보다 일원화된 컨트롤타워로 판세 분석, 교섭 전략 등에 종합적이고 일관된 대응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외에도 회원국 여론 조성에 필요한 현지 홍보 전략을 수립하고 경쟁 프레젠테이션도 회원국 눈높이에 맞추는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국가사업으로 승인되면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만큼 특별법 제정도 고려할 만하며 글로벌 컨설턴트와 홍보 대행사를 활용한 전략 마련, 국내외 전문가 풀 네트워크를 구축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한국판 장발장’에 무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404.jpg
)
![[기자가만난세상] AI 부정행위 사태가 의미하는 것](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346.jpg
)
![[세계와우리] 트럼프 2기 1년, 더 커진 불확실성](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384.jpg
)
![[조경란의얇은소설] 엄마에게 시간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352.jpg
)




![[포토] 아이브 가을 '청순 매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8/300/2025112851021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