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1만건을 넘어서며 지난해 10월보다 약 2.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강력 규제’를 담은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후 막차 수요가 몰린 결과로 분석된다.
국토교통부가 28일 발표한 10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신고일 기준으로 지난달 비(非)아파트를 포함한 전국 주택 거래량은 6만9718건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로는 10.0%, 지난해 10월과 비교하면 23.2% 각각 증가했다.
수도권(3만9644건)은 전월보다 26.7%, 지난해 같은 달 대비로는 58.5% 늘었다. 서울(1만5531건)은 지난해 10월 대비 116.8% 증가했고 전월 대비로도 41.3% 늘었다. 반면 지방(3만74건)은 전월 대비 6.2%, 지난해 동월 대비로는 4.7% 각각 감소했다.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5만6363건으로 전월 대비 13.5%, 지난해 동월 대비 31.3% 증가했다. 1만1041건이 거래된 서울의 거래량은 전월(6796건)보다 62.5%, 지난해 동월(4000건) 대비로는 176.0% 증가하며 급등했다. 수도권 전체 아파트 거래량은 3만1220건으로 전월 대비 35.5%, 지난해 10월 대비 79.4% 늘었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후 막판 패닉바잉(공포 매수)과 갭투자(전세 낀 매매) 수요 등이 몰린 결과로 풀이된다.
전국 전월세 거래량은 19만9751건으로 9월 대비 13.4% 감소했다. 임차 유형별로는 전세(7만2891건)가 전월 대비 9.0%, 보증부 월세와 반전세 등을 포함한 월세(12만6860건)는 15.8% 각각 줄었다.
다만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전세는 20.3% 줄었으나 월세는 5.9% 증가했다. 1∼10월 누계 기준 월세 비중은 62.7%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4%포인트 상승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한국판 장발장’에 무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404.jpg
)
![[기자가만난세상] AI 부정행위 사태가 의미하는 것](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346.jpg
)
![[세계와우리] 트럼프 2기 1년, 더 커진 불확실성](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384.jpg
)
![[조경란의얇은소설] 엄마에게 시간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128/2025112751935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