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美 평화구상 놓고 우크라 “존엄 잃거나 핵심동맹 잃거나” vs 러 “확성기 모드 안돼”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1-22 01:15:37 수정 : 2025-11-22 01:15:36
정지혜 기자 wisdom@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마드리드=AP/뉴시스] 페드로 산체스(오른쪽) 스페인 총리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8일(현지 시간) 스페인 마드리드 몬클로아궁에서 공동 기자회견 후 악수하고 있다. 산체스 총리는 우크라이나에 다음 달부터 1조 원이 넘는 군사 지원과 3천4백억 원의 재건 비용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 2025.11.19.

미국이 마련한 우크라이나 평화 협정 28개 조항을 둘러싼 당사자 및 국제사회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마침내 종전 출구를 찾은듯 했던 러-우 전쟁의 결말이 어느 쪽을 향해 갈지 다시 복잡해지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가 “역사상 가장 어려운 순간 중 하나에 직면했다”고 영상 성명을 통해 밝혔다. 협상 과정에서 우크라이나를 배신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 강조한 젤렌스키 대통령은 현재 우크라이나에 가해지는 압박이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고 토로했다.

 

우크라이나가 놓인 상황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존엄성을 잃거나 핵심 동맹국을 잃을 위험을 감수하거나”의 기로에 있다고 설명하며 “(미국의 새 종전안의) 어려운 조항 28개를 받아들이거나 혹독한 겨울을 보내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대안을 제시하겠지만 적에게 우크라이나가 평화를 원하지 않는다는 구실은 절대 주지 않을 것”이라 강조하며 “최소한 두 가지, 즉 우크라이나인의 존엄성과 자유가 박탈되지 않도록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평화 협정 조항 계획에 대해 러시아는 공식적으로 전달받은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이날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우리는 (그 계획의) 수정가능성과 승인된 문구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지만 어떤 것도 공식적으로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미국이 우크라이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진 아이디어가 있다고는 알지만 “현재 구체적인 것은 아무것도 논의되지 않고 있다”고 했다.

 

UN Secretary General Antonio Guterres speaks during a press conference at the Nasrec Expo Centre in Johannesburg on November 21, 2025, ahead of the G20 Leaders'' Summit. (Photo by GIANLUIGI GUERCIA / AFP)/2025-11-22 01:12:38/ <저작권자 ⓒ 1980-202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스코프 대변인은 “러시아는 여전히 협상에 열려 있다”며 러시아와 미국의 접촉이 중단되지 않았지만 평화 회담이 성공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 ‘확성기 모드’로 문제를 논의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외신들은 미국이 28개 조항으로 구성된 평화 계획을 우크라이나에 전달했으며, 이 계획에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가 통제하지 않고 있는 돈바스(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영토를 양보하고 철군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러시아가 2014년 강제 병합한 크림반도와 돈바스 지역을 러시아 영토로 인정한다는 내용을 포함되는 등 미국의 계획에 러시아의 요구 사항이 상당히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미국의 평화 계획을 구체적으로 모른다면서도 러시아군이 전장에서 전진하고 있는 만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협상에 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런 한편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우크라이나의 평화 계획은 우크라이나의 영토 보전을 지지하는 유엔 총회 결의를 준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테흐스 총장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요하네스버그 나스렉 구역 엑스포센터에서 연 사전 기자회견에서 최근 미국이 제안한 평화 협정 초안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다만 그는 “미국이나 다른 어떤 기관에서도 공식적으로 발표한 적이 없고 언론 보도만으로 공개된 내용에 관해 얘기하는 것”이라 신중한 입장을 취하면서 “국가의 영토적 주권은 반드시 존중돼야 한다”며 우크라이나측 입장을 간접적으로 지지했다.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일리 '반가운 손인사'
  • 박보영 '순백의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볼하트'